
17일 영등포구와 서울시는 영등포구 신길2구역을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방식으로 개발해 1300여 가구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은 영등포구 신길동 205-136번지 일대(6만704㎡)에 용적률 300%를 적용한 최고 45층, 총 18개 동의 아파트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공공분양 905가구 등 총 1332가구가 공급된다. 서울시와 구청은 이르면 내년 중 사업 착공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사업지는 30년 이상 노후주택 밀집 지역으로 민간 재개발 추진이 어려운 지역 중 하나로 꼽혀왔다. 이미 지난 2008년 뉴타운으로 지정됐지만, 경기 침체 여파로 2014년 정비구역에서 해제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지로 신길2구역을 선정하면서, 사업 추진에 속도가 날 것이라는 전망이 확대되고 있다. 도심복합사업은 기존 민간 사업으로는 개발이 어려운 역세권 및 준공업지역의 저층 주거지 등을 공공 주도로 신속 개발하는 방식이다.

특히 최근 동북권 역세권 일대와 은평구 연신내역의 시공사 선정 과정이 순항을 이어가면서 신길2구역과 은평구 증산4구역, 쌍문역 서측 일대 사업도 사업자 선정이 비교적 무난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LH는 지난달 초 이들 사업지에 대한 시공사 선정 공모 사전 예고를 진행한 바 있다.
앞서 우선 시공사 선정에 나선 쌍문역 동측과 방학역의 경우, 두산건설이 단독으로 참여해 우선협상권을 확보한 상태다. 연신내역 일대 8250㎡ 규모 부지에 공공분양 246가구 등 총 392가구의 주상복합 단지를 건설하는 ‘연신내역 도심복합사업’도 최근 LH가 공모 심사를 통해 금호건설 컨소시엄과 보미건설을 각각 1, 2위 후보로 선정하고 내달 중 우선협상대상자를 가릴 전망이다.
특히 연신내역 사업의 경우, 최근 LH가 2차례에 걸쳐 기존 사업비를 당초 대비 15% 올린 2244억원으로 책정함에 따라 지난 3차 공모에서는 금호건설 컨소시엄과 보미건설, 계룡건설산업, 우미건설, 남광토건 5개 업체가 응찰에 나서기도 했다. 최근 도심복합사업 사업비에서 공사비 인상분이 일부 반영되는 기조에 더해 비교적 안정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민간 참여가 확대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아직 구체적인 사업비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신길2구역과 증산4구역, 쌍문역 서측 등 3개 사업지의 사업비도 일부 상승 가능성이 점쳐진다. 업계 관계자는 “공사비는 입찰 업체가 저조하거나 응찰이 없을 경우 재공모 과정에서 해당 업계나 시장 아니면 주민 및 조합에서 일정 의견을 반영해 향후 조정이 일부 가능하기 때문에 추가 상승 가능성도 열어놓고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