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비상] 계속되는 토허제 후폭풍…5월에도 3조 증가

  • 씨티·우리銀 대출금리 인상…국민銀 비대면 접수건수 제한

  • 인터넷은행 대출 '오픈런' 가속

서울 시내 한 은행에 붙어 있는 주택담보대출 상품 현수막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은행에 붙어 있는 주택담보대출 상품 현수막 [사진=연합뉴스]
주요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 폭이 9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은행권과 금융당국은 금리를 올리거나 판매 한도를 제한하는 등 대출 속도 조절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면서 금융소비자들의 대출 막차 타기 현상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이달 1~15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45조9827억원으로 4월 말 대비 2조8979억원 증가했다.

이런 추세라면 이달 총 가계대출 증가액은 5조8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지난달 증가 폭(4조5337억원)보다 1조3000억원 많은 수치이자 2024년 8월 이후 최대 규모다.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대출 포함) 잔액은 591조1678억원으로 4월 말보다 1조7378억원 늘었다. 신용대출 잔액도 1조939억원 늘어 4월 전체 증가액(8868억 원)을 웃돌았다. 금리 인하와 서울 토지거래허가구역 일시 해제, 대출 규제 완화 등으로 주택 거래가 늘어난 데다 증시 변동성 확대에 따른 ‘빚투’로 인해 가계대출이 증가했다.

가계대출 증가세에 따른 불안이 커지자 은행권은 금리를 높이거나 판매 상품 한도를 줄이는 등 수급 조절에 나서고 있다. 씨티은행은 14일부터 '굿뱅크 장기 모기지론' 36개월·60개월 기준금리를 각각 0.01%포인트, 0.04%포인트 높였다. '직장인 신용대출' 36개월·60개월 상품 금리도 0.01~0.04%포인트 인상했다. 우리은행은 '우리 WON 갈아타기 직장인 대출' 상품에서 우대금리를 운영하지 않기로 하며 사실상 금리 인상을 결정했다.

금리 인하 기조가 은행권 전체로 번지면 실수요자가 대출을 받기는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이달 15일 기준 주담대 변동금리 기준이 되는 코픽스는 전월 대비 0.14%포인트 내렸다. 시중은행들은 신규 주담대 등 변동금리에 코픽스 금리를 반영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KB국민은행은 일일 비대면 주담대 접수 건수를 150건으로 제한하는 방식으로 대출량을 조절하고 있다.

이에 일부 은행 앱에서는 주담대 막차를 타려는 수요가 몰리면서 접속이 폭주하고 있다. 은행권 수급 조절에 더해 7월부터는 금융당국의 주담대 대출 한도 축소가 예정돼 있어서다. 케이뱅크는 오전 9시 아파트 대출 신청을 받기 시작하는데 영업 시작 정각에 들어가도 주담대 신청을 하지 못했다는 소비자들의 호소가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수분 만에 ‘아쉽지만 하루 접수량이 초과됐다’는 메시지가 뜬다.

금융권 관계자는 “시중·인터넷은행은 하반기 가계대출 규제가 강화될 것을 고려해 개인사업자·기업 대출로 눈을 돌리려는 분위기”라며 “6월까지 대출 여력이 남은 은행을 찾는 수요가 쏠릴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