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텍스 2025] 젠슨 황 "대만에 슈퍼컴·신사옥 구축"…AI 주도권 강화 포석

  • 컴퓨텍스 개막 전 기조연설

  • 대만 기업 AI 생태계 고평가

  • 하이닉스 등 韓기업도 영향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19일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 뮤직센터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이성진 기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19일(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 뮤직센터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이성진 기자]
엔비디아가 대만에 슈퍼컴퓨터 구축과 함께 신사옥 설립을 공식화했다. 대만의 인공지능(AI) 하드웨어 산업 주도권을 강화하기 위한 포석으로 국내 산업계에 또 다른 위기이자 기회가 될 전망이다. 

19일(현지시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아시아 최대 정보기술(IT) 박람회 '컴퓨텍스 2025' 개막 전날 대만 타이베이 뮤직센터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대만 타이베이 베이터우에 엔비디아 콘스텔레이션(별자리)이 위치할 것"이라며 "이 별자리가 새로운 산업을 만들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엔비디아의 대만 신사옥을 콘스텔레이션으로 명명한 것으로 우주 속 별자리처럼 다양한 기술과 인재들이 모여 하나의 거대한 생태계를 이루게 된다는 의미다. 새 사옥이 들어설 타이베이 북부는 신주과학단지 등 각종 첨단과학기술연구원과 이공계 명문대, TSMC 본사 등이 밀집해 대만의 실리콘 밸리로 불린다.

이와 함께 황 CEO는 "폭스콘, 대만 정부, TSMC와 함께 대만 최초의 대형 AI 슈퍼컴퓨터를 구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슈퍼컴퓨터 구축은 단순히 컴퓨터 한 대를 설치하는 게 아닌, 과학·기술·산업·안보 역량을 구조적으로 끌어올리는 국가 단위 프로젝트다.

AI 산업의 기린아가 된 엔비디아의 경쟁력과 대만의 앞선 반도체 기술력을 결합해 AI 하드웨어 주권을 대만으로 옮기겠다는 복안이다. 실제 이번 슈퍼컴퓨터 프로젝트에는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민관이 모두 참여해 칩 제조부터 패키징, 서버, 통합까지 모두 현지화할 방침이다.

이 같은 야심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업계에 추가 사업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부가가치 반도체 수출이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대(對)대만 반도체 수출액은 2162억 달러로 전년 대비 127.2% 급증했다. 

다만 AI 패권 경쟁에서 대만이 우리를 한발 더 앞서게 되는 것은 부담이다. 국내 AI 생태계 육성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엔비디아와 TSMC에 메모리 반도체를 공급하는 납품처로 전락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비등하는 상황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