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동 4·10단지에 6400여가구 공급…서울시 심의 통과

  • 제4차 도시계획위원회 신속통합기획 정비사업 등 수권분과위원회

  • 삼환도봉아파트 결정안 통과...42층·993가구

목동4단지 위치도 사진서울시
목동4단지 위치도. [사진=서울시]


서울 양천구 목동4단지 아파트가 최고 49층 2436가구 주거단지로 재건축된다. 목동 10단지 아파트는 최고 40층 4050가구 주거단지로 변신한다.

서울시는 전날 제4차 도시계획위원회 신속통합기획 정비사업 등 수권분과위원회를 열고 '목동4단지 재건축사업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결정·경관심의안'과 '목동10단지 아파트 재건축 정비계획 수립 및 정비구역 지정·경관심의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우선 목동 4단지 일대는 반경 1㎞ 이내 지하철 5호선 오목교역과 목동역이 있고, 남측에 국회대로 상부 공원화 사업이 추진되는 곳이다. 신속통합기획으로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이 마련됐다.

정비계획의 주요 내용은 용적률 300% 이하, 최고 49층 규모로 공동주택 2436가구(공공주택 293가구 포함)와 부대 복리시설을 재건축하는 것이다. 목동중앙로변에는 근린공원을 조성하고, 지하에는 공용 주차장을 넣는다. 데이케어센터를 설치해 전문적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

목동 10단지는 인근에 지하철 2호선 신정네거리역이 있고 초등학교·중학교와 신트리공원으로 둘러싸인 곳이다. 대상지에는 용적률 300% 이하, 최고 40층 규모의 공동주택 4050가구(공공주택 525가구 포함)와 부대 복리시설이 들어선다. 중앙로32길변에 근린공원, 목동 중심지구까지 공공 보행통로를 조성한다.

시는 올해 안에 목동 14개 단지 모두 정비계획을 결정하는 게 목표다. 정비계획이 결정됨에 따라 목동4단지와 10단지는 정비계획 고시, 정비사업 통합심의를 거쳐 건축계획이 확정될 전망이다.

 
삼환도봉 위치도 사진서울시
삼환도봉 위치도. [사진=서울시]


도봉구 삼환도봉아파트 재건축 사업 정비구역 및 정비계획 결정안도 수정 가결됐다. 높이 42층 이하 총 993가구(공공주택 155가구 포함) 규모의 공동주택과 부대 복리시설이 신축된다.

삼환도봉아파트는 660가구 규모로 1987년 준공된 노후 아파트다. 2021년 6월 주민제안 방식으로 정비계획을 추진했으나 사업성이 낮아 난항을 겪다가 신속통합기획 자문사업 방식을 적용해 심의 속도가 빨라졌다. 지난해 4월 신속통합기획 자문사업 신청, 6월 최초 자문을 거쳐 약 1년 만에 심의를 통과했다.

지난해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 개정되며 준공업지역인 이곳에 소형 임대주택을 공급할 수 있게 됐고, 사업성 보정계수도 적용돼 분양가능 가구수가 806가구에서 838가구로 32가구 증가했다. 법적 상한 용적률이 400%까지 확대돼 건폐율 60%·용적률 343.49%가 적용됐다.

 
강북구 번동441-3 조감도 사진서울시
강북구 번동441-3 조감도. [사진=서울시]

강북구 번동 441-3번지 일대 주택 정비형 재개발 사업 정비구역 및 정비계획 결정안이 수정가결되면서 지상 26층 높이 120m 이하 960가구가 건립된다.

강북구 번동 일대는 오패산 자락의 구릉지에 위치한 저층 주거 밀집 지역으로, 재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산과 단지가 어우러지는 쾌적한 주거환경이 조성될 전망이다.

오패산 터널 상부에 공원을 조성하고 구릉지 단차를 해소하기 위해 옹벽 대신 데크를 설치한다. 하부 공간은 근린 생활시설, 커뮤니티 시설로 활용한다. 단지 지하에는 공공 청사와 공용 주차장을 신설해 분양 세대를 확보하면서도 주민과 입주민 모두가 편리하게 이곳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시는 지역 여건을 고려해 제1종, 제2종(7층), 제3종이 혼재된 용도지역을 공동주택 제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했다. 사업성 보정계수를 적용해 허용 용적률 인센티브 40%를 부여했다. 

여의도 목화아파트 재건축 정비계획 결정안은 전날 심의에서 보류됐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열악한 저층 주거밀집 지역이 쾌적한 주거단지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