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 프리뷰] 정점 도달한 '명태균 게이트'…오세훈, 피의자 신분 12시간 소환조사

사진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 [사진=연합뉴스]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의 공천 개입 및 여론조사 조작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오세훈 서울시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12시간 넘게 조사했다. 수사는 오 시장의 2021년 보궐선거 과정과 당시 여론조사 자금 흐름, 명씨와의 접촉 여부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사건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25일 일요일, 오 시장을 정치자금법 위반 등 혐의의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고 26일 밝혔다. 조사는 비공개로 진행됐으며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9시 30분까지 약 12시간에 걸쳐 이뤄졌다.

서울시는 이날 이종현 민생소통특보 명의의 입장문을 통해 “오 시장은 명태균 사건 관련 수사에 성실히 임했다”며 “이번 조사를 계기로 허위, 과장, 왜곡된 주장들이 바로잡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검찰 수사의 핵심은 오 시장의 2021년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과정에서 명씨가 운영한 여론조사업체 ‘미래한국연구소’의 비공표 여론조사 13건에 투입된 3300만원을 누가 부담했는지다. 이 자금이 오 시장의 오랜 후원자로 알려진 김한정씨를 통해 대납됐다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명씨는 자신이 오 시장과 최소 7차례 만났고, 선거 직전 오 시장이 “살려달라”, “나경원을 이기는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강혜경 전 미래한국연구소 부소장 역시 명씨 지시로 오 시장에게 유리한 설문 문항을 구성했고, 해당 보고서를 국민의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 측에 전달했다고 검찰에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오 시장 측은 관련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2021년 1월경 김영선 전 의원의 소개로 명씨를 단 두 차례 만났고, 이후 명씨의 수상한 여론조사 수법을 확인한 뒤 연락을 끊었다는 것이 오 시장 측 입장이다. 여론조사 결과를 전달받은 사실도 없고, 명씨가 주장한 ‘자리 약속’도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다.

검찰은 수사의 물꼬를 튼 지난 3월 20일, 서울시청 내 오 시장의 집무실과 공관을 압수수색하며 수사에 본격 착수했다. 이후 강철원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 김병민 서울시 정무부시장, 박찬구 정무특보, 김영선 전 의원, 김한정씨, 강혜경씨, 명태균씨 등 선거 관련자들을 줄줄이 조사해왔다.

특히 강 전 정무부시장은 오 시장과 명씨 사이의 연결 고리 역할을 한 인물로, 여론조사 보고서의 전달이나 자금 흐름에 관여한 정황이 검찰에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지난 24일에도 강 전 부시장과 김한정씨를 비공개로 소환 조사했다.

검찰은 수사의 외연도 넓히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 배우자 김건희 여사가 명씨 측 청탁을 받아 2022년 국회의원 보궐선거 공천에 개입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수사 중이다. 김 여사 측에는 이달 14일 출석을 통보했으나, 김 여사 측은 “조기 대선에 영향을 줄 우려”를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하고 조사에 응하지 않았다.

오 시장을 정점으로 향하는 이번 수사는 여론조사 조작과 공천 개입이라는 이중의 정치공작 의혹을 겨냥하고 있다. 검찰은 확보한 진술과 증거자료를 바탕으로 조만간 사법처리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