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인정보위)는 28일 안전한 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해 공공기관의 가명정보 제공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센터 인력 증원, FAQ 확대, 컨설팅·전문가 지원, 인프라 확충 등으로 공공기관의 가명정보 제공을 전방위 지원할 계획이다.
그간 공공기관은 가명정보 제공에 소극적인 편이었지만, 최근 ‘2025 공공데이터 제공·데이터기반행정 평가’에서 가명정보 제공 실적이 가점 지표로 반영되면서 관심이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다수 공공기관은 인력, 예산 등의 부족으로 적극 대응이 어려운 상황이다.
개인정보위는 이에 따라 다양한 지원 서비스를 속도감 있게 제공할 계획이다. 우선, 6월부터 서울 가명정보 활용 지원센터의 상담 인력을 증원하고, 가명정보 지원 플랫폼에 자주묻는질문(FAQ)을 확대 게시한다. 온라인 문의는 5일 이내 답변한다.
또한, 공공기관의 가명정보 처리 역량을 높이기 위해 내부 거버넌스 구축 컨설팅과 종합 컨설팅을 제공한다. 사회적 기여도가 높은 결합 선도사례를 우선 지원하며, 중소기업 신청인에 한해 ‘가명정보 전문가풀’의 외부 전문가도 지원한다.
가명처리 인프라와 네트워킹 지원도 확충한다. 전국의 가명정보 활용 지원센터를 통해 소프트웨어, 보안구역 등을 지원하며, 온라인 가명처리 서비스는 진흥원 중심으로 시스템 과부하 방지 체계를 운영한다. 아울러 6월 2일부터 플랫폼을 통해 개인정보 목록 검색, 수요자-제공자 연계, 데이터 명세 게시 등이 가능해진다.
개인정보위는 설명회에 참석하지 못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5월 30일 서울에서 추가 설명회를 개최하고, 6월 중 지역별 센터에서 교육도 제공할 예정이다.
양청삼 개인정보정책국장은 “그동안 공공부문에서 가명정보 제공이 원활하지 않아 민간 데이터 활용에 제약이 있었다”며 “이번 계기로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가명정보 제공이 자리잡기를 기대하며 개인정보위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