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중고' SK이노베이션 대표 교체 초강수...장용호 총괄사장 체제로

  • 박상규 대표 물러나고 장용호·추형욱 공동관리 전환

  • 구조조정 전문가 투입, 석화와 배터리 리밸런싱 속도

추형욱 신임 SK이노베이션 대표이사왼쪽와 장용호 신임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 사진SK이노베이션
추형욱 신임 SK이노베이션 대표이사(왼쪽)와 장용호 신임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 [사진=SK이노베이션]

정유·석유화학·배터리 등 주요 사업이 모두 어려움을 겪으면서 올 1분기 적자 전환한 SK이노베이션이 대표 교체라는 초강수를 뒀다. 지난해 알짜 계열사인 SK E&S와 합병하며 재무구조를 개선했음에도 반등 가능성이 보이지 않자 충격 요법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28일 재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은 박상규 대표이사 총괄사장이 물러나고 장용호 SK㈜ 사장과 추형욱 SK이노베이션 E&S 사장이 공동 관리하는 체제로 전환했다. 주요 사업을 관리하는 총괄사장은 장용호 사장이, 사내이사인 대표이사는 추형욱 사장이 맡는다. SK이노베이션은 이날 오후 이사회를 소집해 이같은 안건을 승인했다.

박상규 사장은 2023년 12월 총괄사장직에 올랐고 지난해 3월 주총을 거쳐 대표이사로 취임했다. 지난해 11월 SK이노베이션과 E&S의 합병을 이끌며 자산 100조원 규모 동아시아 최대 에너지·화학 기업을 출범시켰지만, 정유·석화·배터리 업황이 모두 악화하는 삼중고를 넘지 못하고 취임 1년여 만에 낙마했다.

재계에선 장용호 사장이 지주사 사장을 겸직하며 SK에너지(정유)·SK지오센트릭(석화)·SK온(배터리) 등 주요 계열사 의사결정에 관여할 것으로 본다. 그룹 내 구조조정 전문가로 꼽히는 장 사장이 친정 체제를 구축한 만큼 하반기 중 SK이노베이션 계열사에 대한 리밸런싱(자산 재조정)과 자산 매각을 통한 사업 효율화가 잇따를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중국·중동발 공급 과잉에 따른 석화 업황 침체에 직면한 SK지오센트릭, 투자자와의 약속으로 인해 2026년까지 기업공개(IPO)를 완수해야 하는 SK온 등에 대한 강도 높은 대책이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중복 상장 논란으로 IPO 관련 절차가 멈춘 SK엔무브의 시계를 다시 돌려야 하는 것도 장 사장에게 주어진 과제다. SK이노베이션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영업손실 446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영업이익 6247억원 대비 적자 전환했다.

추형욱 사장은 전과 마찬가지로 E&S를 이끌 전망이다. 원래 사내이사였던 추 사장은 주총 결의 없이 이사회 결정만으로 대표 자리에 오를 수 있는 만큼 신속한 리더십 교체를 위해 총괄사장과 대표이사를 장 사장과 추 사장이 나눠 맡는 것으로 풀이된다.

SK이노베이션은 "박상규 사장이 수행해온 업무를 이어받아 조속한 조직 안정화와 흔들림 없는 사업전략 실행을 위해 SK이노베이션 이사회의 현직 이사를 대표이사와 총괄사장으로 새로 선임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박상규 사장은 대표이사와 총괄사장에서 사임하지만 앞으로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인재육성원위원회 위원장과 마이써니 총장으로서 SK그룹 인재를 키우는 일에 집중한다. SK이노베이션 일본담당을 겸직하며 일본 내 사업기회 확보 등에 매진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