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해상 초계기 사고 대책회의·후속 조치에 만전"

  • 유족연금·보훈급여·PTSD 예방 등 최선

  • 해군 "사고 원인 철저히 규명"

1일 경북 포항시 해군 항공사령부 강당에서 해군 P-3CK 917호기 순직자 영결식이 엄수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일 경북 포항시 해군 항공사령부 강당에서 '해군 P-3CK 917호기 순직자 영결식'이 엄수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방부가 해군 초계기 P-3CK 917호기 추락 사고 순직자에 대한 보상 지원 등 후속 조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2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 주관으로 오늘 오전 군 주요직위자가 화상으로 참석한 가운데 해상 초계기 추락 관련 대책회의를 실시했다”며 “회의에서 상황의 엄중함을 정확히 인식하고 작전 대비 태세, 교육 훈련, 부대 운영 등에 대한 미흡 분야를 전반적으로 다시 점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유족연금, 보훈급여 등 보상 지원을 위한 후속 조치 등에 만전을 기할 뿐만 아니라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PTSD) 예방 활동 등 여러 가지 후속 조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해군은 해상초계기 추락 사고와 관련해 지난달 31일 민·관·군 합동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사고 원인을 밝히기 위한 조사 활동을 시작했다.
 
민·관·군 합동 사고조사위원회는 해군 안전단장을 위원장으로 해군 안전단·수사단·해양과학수사센터와 공군 항공안전단, 육군 항공사, 해양경찰청, 항공기 정비업체 민간 전문인력 등으로 구성됐다.
 
장욱 해군본부 정훈실장은 “현재 기체 잔해, 음성기록 녹음 장치, 사고장면 폐쇄회로TV(CCTV) 영상, 레이더 항적과 통신 등 관제기록, 기체 정비 이력, 관련자와 목격자 조사 등을 다각도로 진행하고 있다”며 “합동사고조사위원회는 전문적이고 객관적인 조사를 통해 사고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조사 결과를 투명하게 밝힐 예정이다”고 말했다. 합동사고조사위원회는 음성기록녹음장치에 손상이 있어 복구를 시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 29일 박 중령 등이 탑승한 해군 P-3CK 대잠수함 초계기가 포항경주공항을 이륙하고 6분만인 오후 1시 49분쯤 공항 인근 농가 공터에 추락했다. 이후 사고 발생 약 4시간 30분 만에 P-3CK 탑승자 4명이 전원 숨진 채 발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