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뉴욕의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일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뉴욕증시에서 대형주 중심의 S&P500 지수가 2일(현지시간)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국이 베트남과 무역 합의를 도출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S&P500 지수는 전장보다 29.41포인트(0.47%) 오른 6227.42에 거래를 마감해 지난달 30일의 고점 기록을 갈아치웠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90.24포인트(0.94%) 오른 2만393.13에 장응 닫았다.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52포인트(-0.02%) 내린 4만4484.42를 기록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베트남과 무역 합의를 도출했다고 밝힌 영향이 컸다. 미국이 각국과 진행 중인 무역 협상이 진전될 것이라는 긍정적 전망이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베트남에 대해 46%의 상호관세율을 책정했는데, 베트남이 시장을 개방하는 대신 관세율을 20%로 대폭 내리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대화 후 베트남과 막 무역 합의를 했음을 발표하게 되어 영광”이라며 “이는 우리 두 나라가 협력하는 위대한 합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베트남 제조 신발에 의존도가 높은 나이키는 이날 협상 합의 발표 후 4.06% 상승했다.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2분기(4~6월) 전기차 인도량이 전년 대비 13% 감소했다는 보고서가 공개되는 등 악재에도 4.97% 오른 315.65달러에 마감했다.
전날만 해도 테슬라 주가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트럼프 간의 갈등 속에 5.34% 급락했으나, 하루 만에 반등해 하락분을 거의 되돌렸다.
반도체지수는 1.88% 상승한 5611.05포인트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7월 이후 최고치다.
엔비디아는 2.58% 급등한 157.25달러로 장을 마쳤다. 이로써 시총도 3조8350억달러로 늘었다.
엔비디아가 급등하자 경쟁업체인 AMD도 1.77% 상승했다. 이외에 브로드컴이 1.95%, 대만의 TSMC가 3.97% 올랐다.
다만 인텔은 4.25% 급락했다. 이는 인텔이 ‘18A’(1.8나노) 파운드리 공정의 신규 고객 대상 마케팅 중단 여부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로이터통신은 이날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립부 탄 인텔 CEO가 파운드리 사업에 커다란 변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보도했다.
탄 CEO는 지난 3월 취임 후 18A 공정의 매력이 신규 고객을 끌어들이는 데 한계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차세대인 14A 프로세스로의 전환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잠재적으로 수억 또는 수십억 달러의 비용이 발생할 수 있는 사안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