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약해지면서 환율이 장초반 1380원 후반대에서 등락하고 있다.
1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45분 기준 1387.1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보다 5.3원 오른 1385.5원에 개장해 조금씩 고점을 높이고 있다.
간밤 미국 노동부는 6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동월 대비 2.7% 올랐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준이다. 전월(2.4%)보다 0.3%포인트 오른 수치로 상승폭을 키웠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 대비 2.9%로 집계됐다.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 3.0%, 2월 2.8%를 기록했다가 3월 2.4%로 낮아졌다. 4월(2.3%)과 5월(2.4%) 낮은 수준을 유지했으나 6월 들어 비교적 큰 폭으로 높아졌다.
특히 가정용품과 생활필수품 등에서 관세 여파가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점이 불안 요인으로 지목됐다. 가정용 가구 및 용품의 가격은 전월 대비 1.0% 상승했다. 지난 2022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폭이다. 가전제품은 1.9%, 비디오와 오디오 제품의 가격은 1.1% 올랐다. 장난감 가격은 1.8%, 의류 가격은 0.4% 상승했다.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은 하락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7월 금리 동결 확률은 97.4%, 9월은 45.1%로 나타났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 물가 상승세 확대에도 불구하고 연준에 정책금리 인하를 촉구했다. 그는 이날 트루스소셜에 "소비자 물가는 낮다. 당장 연준 금리를 내려라"라고 주장했다. 이어 "연준은 금리를 3%포인트 내려야 한다"며 "연간 1조 달러(약 1385조원)가 절약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해지자 달러화는 강세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61% 오른 98.592다.
민경원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6월 소비자물가 헤드라인이 예상치를 상회한 데 더해 관세 영향이 반영되면서 시장 불안이 확산됐다"며 "달러 강세 압력이 오늘 아시아 장에서도 이어지면서 환율은 오름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1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45분 기준 1387.1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보다 5.3원 오른 1385.5원에 개장해 조금씩 고점을 높이고 있다.
간밤 미국 노동부는 6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동월 대비 2.7% 올랐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준이다. 전월(2.4%)보다 0.3%포인트 오른 수치로 상승폭을 키웠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 대비 2.9%로 집계됐다.
특히 가정용품과 생활필수품 등에서 관세 여파가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점이 불안 요인으로 지목됐다. 가정용 가구 및 용품의 가격은 전월 대비 1.0% 상승했다. 지난 2022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폭이다. 가전제품은 1.9%, 비디오와 오디오 제품의 가격은 1.1% 올랐다. 장난감 가격은 1.8%, 의류 가격은 0.4% 상승했다.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은 하락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7월 금리 동결 확률은 97.4%, 9월은 45.1%로 나타났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 물가 상승세 확대에도 불구하고 연준에 정책금리 인하를 촉구했다. 그는 이날 트루스소셜에 "소비자 물가는 낮다. 당장 연준 금리를 내려라"라고 주장했다. 이어 "연준은 금리를 3%포인트 내려야 한다"며 "연간 1조 달러(약 1385조원)가 절약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해지자 달러화는 강세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61% 오른 98.592다.
민경원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6월 소비자물가 헤드라인이 예상치를 상회한 데 더해 관세 영향이 반영되면서 시장 불안이 확산됐다"며 "달러 강세 압력이 오늘 아시아 장에서도 이어지면서 환율은 오름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