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주 소각' 법 개정 앞두고...임직원에 자사주 나눠주는 기업들

  • 인카금융, 넥센, 세방전지 등 직원 자사주 지급 늘어

  • 성과보상+경영권보호 활용…기업 입장 1석2조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노트북 화면에 상법 일부개정법률 등 법률공포안 목록이 표시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노트북 화면에 상법 일부개정법률 등 법률공포안 목록이 표시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자사주'가 기업의 골칫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그간 대주주의 경영권 방어를 위한 '실탄'으로 쓰이던 자사주에 대한 규제가 속속 추진되고 있어서다. 당장 정부·여당은 올 하반기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담은 법 개정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자사주를 소각·처분하는 대신 임직원 등에게 이전하는 기업이 있어 눈길을 끈다. 자사주를 임직원에 대한 성과보상 수단으로 쓰는 동시에 유사시 지배구조 안정을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하려는 포석이다.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보험대리점업체 인카금융서비스는 자사주 27만3860주를 임직원 333명에게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A) 형태로 지급한다고 공시했다. 시가 기준 약 37억원 규모며 일정 기간 재직 요건을 충족하면 실제 소유로 전환되는 구조다.
인카금융서비스는 내부적으로 소속 보험설계사 약 1만8000명(4월 기준)에게도 성과에 따라 자사주를 지급한다는 방침을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성과에 따라 지급하기에 아직 명확한 규모가 정해지지는 않았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 같은 자사주 활용이 단순한 직원 보상 외에 지배구조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자사주를 들고 있으면 향후 법 개정에 따라 소각 압박을 받을 수 있지만 이를 직원이나 직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우호적 관계자에게 넘기면 추후 지배구조 측면에서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3%룰 시행으로 최대주주 의결권이 제한되는 상황에서 우호 지분 확보를 위한 사전 작업의 성격도 있다는 분석이다.
 
인카금융 외에도 최근 자사주를 직원들에 나눠주는 기업들이 있다. 넥센은 지난 15일 자사주 약 29억원어치를 직원 격려금 명목으로 활용하겠다고 공시했다. 역시 자사주를 소각하지 않고 내부 구성원에게 이전하는 방식이다. 지난 8일 배터리 기업 세방전지도 자사주 91억원가량을 직원들에게 지급하기로 했다. 남양유업(16억원), 세방(14억원) 등도 이달 자사주 10억원어치 이상을 직원에게 나눠주겠다고 공시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3%룰이 도입될 예정인 가운데 이를 우회적으로 회피하려는 방안으로 자사주를 활용하는 움직임이 감지된다”며 “전자투표 등이 도입되면서 소액주주 의견도 점점 중요해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3%룰은 감사위원 선임·해임 시 최대 주주와 특수 관계인 의결권을 합산 3%로 제한하는 내용이다. 정부는 15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상법 일부개정 법률 공포안을 의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