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통일연구원장 "통일부에서 '통일' 삭제 부적절…악영향 매우 커"

  • 통일정책포럼서 "정세 복잡할수록 국가 목표 확고해야"

  • "김민석 총리가 의견 물어…'바꿀 일 아니다' 의견 제시"

김천식 통일연구원장 사진연합뉴스
김천식 통일연구원장 [사진=연합뉴스]

김천식 통일연구원장이 "통일부에서 '통일'을 삭제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한 일"이라고 밝혔다.

김 원장은 1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이재명 정부 통일·대북정책 추진 방향'을 주제로 열린 통일정책포럼 인사말을 통해 "통일부는 우리 민족의 통일 의지와 통일의 권리를 국가 기구로서 표상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아울러 "그것(통일)이 없어졌을 때 국가 정체성과 대외적 메시지에 미칠 악영향은 매우 클 것"이라며 "통일을 포기한 것으로 이해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지금은 세계사적 대전환이 이뤄지고 있어 정세가 시끄럽기도 하고 혼란스럽다. 이럴 때 우리는 혼란의 소용돌이에 빠져버리거나 당면 현안에 매달려서 큰 방향을 보지 못할 수 있다"며 "정세가 복잡하고 어렵더라도 그럴 때일수록 국가가 나아가는 좌표와 국가 목표는 확고하고 분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작금에 분단이 오래되고 정세가 어려워지자 통일에 대한 의지가 약화되고 있다. 심지어는 통일하지 말자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며 "이러한 행태는 반통일"이라고 지적했다.

또 "평화를 위해 통일을 지우고 '두 개 국가' 체제를 받아들이자는 것도 한반도 평화와 긴장의 본질을 도외시한 황당한 주장이며 미신"이라면서 "우리가 나아갈 목표가 어렵더라도 이것을 끈질기게 추구하는 것이 반만년 역사를 가진 문화민족으로서의 자세"라고 힘줘 말했다.

김 원장은 이후 기자들과 질의응답 과정에서 "지난주 총리 간담회에서 김민석 총리가 의견을 묻기에 '바꿀 일이 아니다, 바뀌어서는 안 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며 "통일부는 이름 자체가 90%이기 때문에 명칭에서 '통일'이 빠져버리면 존립 가치가 없어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2023년 말 남북 관계를 '적대적인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한 북한이 '통일 지우기'에 한창인 가운데 최근 일각에선 북한과 대화를 재개하기 위해 통일부 역시 부처 명칭 변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앞서 지난 14일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인사청문회 중 통일부 명칭 변경 관련 질의에 "검토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한다"며 "국민의 대표 기관인 국회에서 여야가 함께 의논해야 할 아주 중요한 사안"이라고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