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정기획위원회가 25일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하고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AI 3대 강국 실현을 위한 시동을 걸었다.
이날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진행된 토론회에는 한상기 테크프론티어 대표·이경일 솔트룩스 대표·윤일용 포스코 DC AI 기술센터장 등 민간 전문가를 비롯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교육부·행정안전부·산업부·중소벤처기업부·고용노동부·환경부·개인정보위원회 등 관계 부처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국정기획위는 토론회를 통해 AI 산업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하고 기존 정책들을 점검, 이를 국정과제에 반영할 계획이다.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은 토론회에서 "인류 역사상 AI라는 기술 하나를 두고 전 세계가 뛰어든 예는 산업혁명 이래 한 번도 없었다. 전 세계적으로 경쟁하고 있는 상황 속 뒤떨어지면 시쳇말로 '국물도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한 대표는 토론회에서 '대한민국 AI 정책과 전략'을 주제로 우수 인재 확보·글로벌 사우스 등 국제협력과 연대를 강조하며 AI 분야에 있어 인류에 공헌하는 국가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공공과 민간 분야에서 AI 도입을 통해 국민 전체가 AI를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또 AI를 활용해 초고령사회와 경제 생산성 제고 등 국가적 문제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 센터장은 산업 현장에서의 AI 적용 현황을 설명하며 최신 AI 개발의 방향성과 제조 분야 등 산업 현장의 실제 필요에는 차이가 존재하는 상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책 수립에 있어 제조 현장에 AI 확산을 고려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 위원장은 "대통령실, 정부, 국정위에서도 AI와 관련된 많은 논의와 토론, 쟁점들이 검토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없는 것', '앞으로 다가올 것'에 대한 것들이기 때문에 쟁점이 모두 모여야 정책이 나오고 그때 그때 수정될 것 같은데 많은 의견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