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가 최근 집중호우로 발생한 피해에 대해 도 차원의 특별지원금을 8월 중 지급하기로 했다.
박정주 행정부지사는 28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행정안전부 중앙합동조사단이 8월 2일까지 현장조사를 마친 뒤, 19일쯤 피해 규모가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며 “조사 완료 즉시 도의 특별지원금을 국비보다 앞서 지급해 도민들의 신속한 일상 복귀를 돕겠다. 이르면 20일경 지급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도에 따르면 7월 27일 오후 6시 기준 도내 폭우 피해 규모는 총 3,664억 원으로, 공공시설 피해 2,555억 원, 사유시설 피해 1,109억 원이다. 공공시설은 도로 199건, 하천 290건, 소하천 623건, 수리시설 425건, 기타 2,087건이며, 사유시설은 농작물 28,781건, 주택 2,016건, 소상공인 910건, 기타 1만 1,346건으로 집계됐다.
시군별 피해는 예산군이 907억 원으로 가장 많고, 서산시 589억 원, 아산시 500억 원, 당진시 431억 원, 홍성군 326억 원 등이 뒤를 이었다.
박 부지사는 “서산과 예산은 이미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됐고, 기준을 초과한 다른 시군들도 추가 지정을 추진 중”이라며 “기준에 미달한 시군도 읍·면 단위 피해를 기준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응급복구는 전체 7,041건 중 5,614건(79.7%)이 완료됐다. 복구를 위해 지금까지 총 3만 7,126명의 인력이 투입됐으며, 자원봉사단 1만 5,934명, 군인 4,590명, 의용소방대 6,166명 등이 참여했다.
박정주 부지사는 “이번 주 응급복구는 사실상 마무리 단계”라며 “도 차원의 특별지원대책으로 생업 재개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도는 8월 중 주택, 농업, 축산, 소상공인 4개 분야에 특별지원금을 집중 지급할 계획이다.
주택의 경우 전파 피해는 정부지원금 2,200만~3,950만 원에 도비 8,000만 원을 더해 최대 1억 1,950만 원, 반파는 최대 6,000만 원까지 지원한다. 침수는 정부 350만 원, 도비 250만 원으로 총 600만 원을 지원한다.
농업 분야는 보험 가입 농가에는 특별위로금을, 무보험 농가는 보험금의 70% 수준을 지원하며, 보험이 불가능한 작물 재배 농가는 100% 수준을 지원받는다.
축산 분야는 폐사축 처리비 4억 4,000만 원을 긴급 지원했으며, 농가당 최대 2억 원까지 무담보 특례보증을 시행할 계획이다. 소 사육 농가 보험 지원 비율도 70%에서 80%로 상향 검토 중이다.
소상공인은 피해 점포당 정부 300만 원, 도비 600만 원으로 총 900만 원을 지급하며, 이후 성금 등을 활용해 피해 정도에 따라 차등 지원할 방침이다.
금융지원도 병행되며, 전통시장에는 연 1.5%대 초저금리로 업체당 최대 3억 원, 중소기업에는 2% 고정금리로 최대 10억 원까지 융자가 가능하다.
도내 일시 대피자는 총 1,515세대 2,391명이며, 이 중 1,294세대 2,042명은 귀가했으나, 221세대 349명은 아직 귀가하지 못했다.
도는 구호물품 15만 개와 급식 1만 3,000인분을 제공했고, 주택 파손으로 주거지가 필요한 81세대에는 공공임대주택 또는 조립식 주택을 지원할 예정이다.
심리회복을 위한 센터 8곳이 운영 중이며, 예산군 덕산면에는 피해자 통합지원센터를 설치해 원스톱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박정주 부지사는 “도민들이 하루라도 빨리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매일 시군과 점검회의를 진행하며 비상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복구와 지원이 마무리될 때까지 철저히 대응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