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 경쟁] 편의점, 신선식품까지 진열…대형마트는 '초대형 할인'

  • 최대수혜 편의점, 한우·전복 선보여

  • 대형마트, 할인행사로 고객 붙잡기

  • 프랜차이즈도 평소보다 매출 증가

그래픽아주경제 미술팀
[그래픽=아주경제 미술팀]

'소비쿠폰+카드할인 추가 25%'·'여름휴가철 농산물 20% 할인'

29일 서울 송파구의 한 편의점과 대형마트 입구에 나란히 붙은 안내문이다. 약 12조원 규모 소비쿠폰이 풀리기 시작하면서 유통업계가 매출 증대 기회로 보고 마케팅 경쟁에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지급 첫 주를 지나면서 현장에서는 매출 증가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한 점주는 "소비쿠폰이 풀린 뒤 하루 매출이 평균 30만~40만원은 더 나오고 있다"며 "요즘에는 라면과 과자 외에 담배까지 보루로 사는 손님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편의점에서는 고기류·간편식 외에 쌀과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등 평소 자주 팔리지 않던 품목까지 매출이 오르는 추세다. CU에 따르면 소비쿠폰이 지급된 22일부터 27일까지 매출은 전달 동요일(6월 24~29일) 대비 증가세다. 대표적으로 고급 아이스크림 60%, 쌀·잡곡 50%, 양주 41% 각각 늘었다.

 
29일 서울 송파구 소재 편의점 CU 매장 입구에 소비쿠폰 추가 할인 안내문이 붙어있다 사진홍승완 기자
29일 서울 송파구 소재 편의점 CU 매장 입구에 소비쿠폰 추가 할인 안내문이 붙어있다. [사진=홍승완 기자]

그렇다보니 편의점업계는 그간 매장에서 보기 힘들었던 프리미엄 신선식품까지 소비쿠폰 수요에 맞춰 빠르게 진열하고 있다. 예를 들어 GS25는 한우·꽃갈비·장어·전복 등을 대거 선보였다. 이날 편의점을 찾은 한 30대 직장인은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데다 품목도 다양해져 편의점에서 장을 보는 때가 많아졌다"고 말했다.

반면 소비쿠폰 사용처에서 제외된 대형마트는 할인행사를 진행하며 고객 이탈 방지에 나섰다. 이마트는 다음달 3일까지 '초대형 가격 하락' 행사를 한다. 수박·복숭아·한우·전복 등 휴가철 수요가 많은 식품 위주로 할인 폭을 키웠다. 롯데마트도 30일까지 치킨, 통족발 등 나들이용 먹거리를 중심으로 가격을 낮췄다. 중복(7월 30일)을 겨냥해 상온 삼계탕 전 품목에도 행사카드 결제시 10% 추가 할인 혜택을 붙였다.
 
롯데마트가 오는 30일까지 치킨 통족발 등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 사진은 롯데마트 송파점 사진홍승완 기자
롯데마트가 오는 30일까지 치킨·통족발 등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 사진은 롯데마트 송파점에 안내문이 걸려 있다. [사진=홍승완 기자]

프랜차이즈업계도 소비쿠폰 지급 효과를 체감하며 관련 마케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구 을지로에서 뚜레쥬르를 운영하는 이모씨(40)는 "소비쿠폰이 풀린 첫날 매출이 평소보다 1.5배 증가했다"며 "본사의 정기 할인행사와 시기가 겹쳐 매출 상승폭이 더 크게 느껴졌다”고 설명했다.

뚜레쥬르 운영사 CJ푸드빌은 지난 25일부터 소금버터롤과 옛날꽈배기도넛 등 인기 제품 4종을 최대 30% 할인하고 있다. 서울 중구 소재 원할머니보쌈 점주는 "점심시간에 소비쿠폰 사용 여부를 묻는 고객이 많다"며 "카드사를 통해 결제되는 소비쿠폰 금액까지 포함하면 소비쿠폰 관련 매출 비중은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맘스터치는 공공배달앱 '땡겨요'와 협업해 소비쿠폰 수요 흡수에 나섰다. 전국 가맹점 중 ‘땡겨요’ 입점률은 현재 약 75%로, 이달 말까지 9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서울시청점 점주는 "최근 소비쿠폰 사용 가능 여부를 먼저 묻는 손님이 부쩍 늘었다"며 "배달앱 내 현장결제 방식 주문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고 말했다.

bhc 역시 소비쿠폰 지급 이후 매출 상승 효과를 체감하고 있다. 회사에 따르면 소비쿠폰 지급 이후 맞은 첫 주말의 가맹점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약 25% 늘었다.
 
서울 을지로입구역 인근 뚜레쥬르 매장 출입문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안내문과 함께 각종 할인 행사 포스터가 붙어있다 사진김현아 기자
서울 을지로입구역 인근 뚜레쥬르 매장 출입문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안내문과 함께 각종 할인 행사 포스터가 붙어있다. [사진=김현아 기자]

건강기능식품업계도 소비쿠폰 흐름에 맞춰 마케팅에 나섰다. 정관장은 지난 28일부터 할인 프로모션을 시작했다. 2020년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가맹점 일매출이 58% 증가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소비쿠폰 역시 매출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GC인삼공사 관계자는 "여름철 폭염이 이어지면서 건강관리 수요가 늘고 있다”며 “홍삼을 중심으로 건강식품 매출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