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사진=연합뉴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취임 직후부터 강행군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더해 최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운명을 좌우할 금융감독체계 개편 논의 분위기도 바뀌었다. 금융감독체계 개편이 ‘시계 제로’ 상태에 놓이자 금융권은 권 부위원장 행보를 통해 금융당국 조직개편 방향성을 추론하는 등 동향 파악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권 부위원장은 29일 서울 중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개인 연체채권 관리 관련 현장 간담회’를 주재했다. 전날 금융권 협회장을 소집해 생산적 금융으로 전환하도록 독려하고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한 간담회를 주재한 데 이은 강행군이다.
최근 금융권 화두는 권 부위원장 행보다. 지난 21일 취임한 그는 24일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살폈고, 25일에는 개인 부실채권 관리 관련 간담회를 열었다. 현장 목소리를 들으면서 가계부채 점검회의 등 현안도 챙겼다.
금융권 관계자는 “전임 부위원장 퇴임 이후 부위원장 직무를 대리해왔으므로 크게 달라진 것은 없는 셈”이라면서도 “지난 4일 충청권 타운홀 미팅 이후 현장 밀착형 행보를 강화하면서 두드러지게 보이는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권 부위원장 행보와 연관 지어 금융당국 조직개편 방향성을 추측하기도 한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임명된 금융당국 고위급 인사는 그가 유일한 사례기 때문이다. 이재명 대통령에게 칭찬을 들은 뒤 승진한 데다 강행군에도 나서고 있는 만큼 금융위 부위원장은 조직개편 이후에도 ‘살아남을’ 자리라는 주장이다.
공교롭게도 권 부위원장 취임을 전후로 금융감독체계 개편 논의 흐름도 바뀌었다. 국정기획위원회가 마련한 초안은 금융위의 국내 금융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이관하고 나머지는 금융감독원과 통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더해 금감원 산하 금융소비자보호처는 금융소비자보호원으로 분리·독립하는 방안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최근 금융위 존치 주장도 힘을 얻고 있다. 국회에서는 기재부가 보유한 국제금융정책 기능을 금융위로 이관하자는 법안이 발의되기도 했다. 이에 더해 ‘금융위원회 설치 등에 관한 법률’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관이라는 점도 변수로 떠올랐다. 현재 정무위원장인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이 야당 소속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소문만 무성해지는 등 금융당국 조직개편은 오리무중에 빠졌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현재는 각종 추측이 난무하면서 조직이 어수선한 상태”라며 “조직개편이 마무리돼야 고위급 인사부터 차례대로 이뤄지면서 차츰 조직이 안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이날 권 부위원장은 개인 연체채권 관리 개선안을 발표했다. 금융위는 향후 대형 금융사 등 채권자보다 개인 채무자가 법적 지식 등에 있어 열위에 있는 구조적 상황을 고려해 채무자를 보호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바꿔나갈 방침이다.
권 부위원장은 29일 서울 중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개인 연체채권 관리 관련 현장 간담회’를 주재했다. 전날 금융권 협회장을 소집해 생산적 금융으로 전환하도록 독려하고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한 간담회를 주재한 데 이은 강행군이다.
최근 금융권 화두는 권 부위원장 행보다. 지난 21일 취임한 그는 24일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살폈고, 25일에는 개인 부실채권 관리 관련 간담회를 열었다. 현장 목소리를 들으면서 가계부채 점검회의 등 현안도 챙겼다.
금융권 관계자는 “전임 부위원장 퇴임 이후 부위원장 직무를 대리해왔으므로 크게 달라진 것은 없는 셈”이라면서도 “지난 4일 충청권 타운홀 미팅 이후 현장 밀착형 행보를 강화하면서 두드러지게 보이는 것 같다”고 말했다.
공교롭게도 권 부위원장 취임을 전후로 금융감독체계 개편 논의 흐름도 바뀌었다. 국정기획위원회가 마련한 초안은 금융위의 국내 금융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이관하고 나머지는 금융감독원과 통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더해 금감원 산하 금융소비자보호처는 금융소비자보호원으로 분리·독립하는 방안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최근 금융위 존치 주장도 힘을 얻고 있다. 국회에서는 기재부가 보유한 국제금융정책 기능을 금융위로 이관하자는 법안이 발의되기도 했다. 이에 더해 ‘금융위원회 설치 등에 관한 법률’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관이라는 점도 변수로 떠올랐다. 현재 정무위원장인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이 야당 소속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소문만 무성해지는 등 금융당국 조직개편은 오리무중에 빠졌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현재는 각종 추측이 난무하면서 조직이 어수선한 상태”라며 “조직개편이 마무리돼야 고위급 인사부터 차례대로 이뤄지면서 차츰 조직이 안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이날 권 부위원장은 개인 연체채권 관리 개선안을 발표했다. 금융위는 향후 대형 금융사 등 채권자보다 개인 채무자가 법적 지식 등에 있어 열위에 있는 구조적 상황을 고려해 채무자를 보호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바꿔나갈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