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외국인 환자가 사상 처음으로 100만명을 돌파한 가운데 이들이 'K-의료'에 최소 1조4000억원을 쓴 것으로 집계됐다.
28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외국인 환자 유치 실적 통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에서 진료받은 외국인 실환자(중복 내원 횟수 제외)는 모두 117만467명으로, 1년 전(60만5768명)보다 93.2% 급증했다.
외국인 환자 유치 사업을 시작한 2009년(6만201명) 이래 환자가 100만명을 넘은 것은 작년이 처음으로, 누적 환자 수는 505만명에 달한다.
이들의 의료업종 이용액은 1조4052억원으로, 1인당 152만9000원가량을 썼다.
업종별 카드 결제액은 피부과(5855억원), 성형외과(3594억원), 백화점(2788억원), 면세점(1884억원), 일반음식점(1833억원) 순으로 많았다.
지난해 국적별로 가장 많이 한국을 찾은 환자는 일본인(44만1000여명)으로, 역대 최다 유치 실적을 남겼다.
일본 다음으로는 중국(26만여명), 미국(10만1000여명), 대만(8만3000명), 태국(3만8000명) 순으로 많았다.
외국인 환자가 가장 많이 진료받은 과목은 단연 피부과로, 환자 70만5000여명(전체의 56.6%)이 미용 관련 시술을 받았다.
피부과 다음으로는 성형외과(11.4%), 내과(10.0%), 검진센터(4.5%), 한방 통합(2.7%) 등의 순으로 환자들이 많이 찾았다.
환자들은 주로 서울(100만명)에 많이 몰렸다. 부산(3만명)과 제주(2만명)는 절대적 환자 수는 적었지만, 전년 대비 각각 133.6%, 221.0% 환자가 늘었다.
28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외국인 환자 유치 실적 통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에서 진료받은 외국인 실환자(중복 내원 횟수 제외)는 모두 117만467명으로, 1년 전(60만5768명)보다 93.2% 급증했다.
외국인 환자 유치 사업을 시작한 2009년(6만201명) 이래 환자가 100만명을 넘은 것은 작년이 처음으로, 누적 환자 수는 505만명에 달한다.
이들의 의료업종 이용액은 1조4052억원으로, 1인당 152만9000원가량을 썼다.
지난해 국적별로 가장 많이 한국을 찾은 환자는 일본인(44만1000여명)으로, 역대 최다 유치 실적을 남겼다.
일본 다음으로는 중국(26만여명), 미국(10만1000여명), 대만(8만3000명), 태국(3만8000명) 순으로 많았다.
외국인 환자가 가장 많이 진료받은 과목은 단연 피부과로, 환자 70만5000여명(전체의 56.6%)이 미용 관련 시술을 받았다.
피부과 다음으로는 성형외과(11.4%), 내과(10.0%), 검진센터(4.5%), 한방 통합(2.7%) 등의 순으로 환자들이 많이 찾았다.
환자들은 주로 서울(100만명)에 많이 몰렸다. 부산(3만명)과 제주(2만명)는 절대적 환자 수는 적었지만, 전년 대비 각각 133.6%, 221.0% 환자가 늘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