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 SK온 일병 살리기 총력전...엔무브와 합병

  • SK온, 독자생존체제 구축 위해 8조 자본확충도

  • 전기화 사업 경쟁력 확보·재무 안정 동시 추진

사진SK이노베이션
장용호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이 30일 SK서린빌딩에서 진행된 'SK이노베이션 기업가치 제고 전략 설명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사진=SK이노베이션]
지난해부터 계열사 리밸런싱(자산 재조정)을 추진 중인 SK이노베이션이 배터리 계열사인 SK온과 윤활유 계열사인 SK엔무브의 합병을 추진한다. 시장 상황에 맞춰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 배터리 사업에 연 8000억~9000억원의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윤활유 사업을 보강함으로써 SK온의 순차입금을 감소시키고 양사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구상이다.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와 액침냉각을 결합해 급성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도 공동 공략한다.

30일 SK이노베이션과 SK온, SK엔무브는 각각 이사회를 열어 양사 합병 안건을 의결했다. SK온이 SK엔무브를 흡수합병하는 형태로 진행되며 오는 11월 1일 합병 법인이 공식 출범한다.

이번 합병은 글로벌 배터리 시장 경쟁이 격화하는 상황에서 SK온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과 생산 설비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는 SK그룹 차원의 판단이 배경에 있다. 회사 측은 이번 합병으로 SK온이 올해 자본 1조7000억원, EBITDA 8000억원 상당의 재무구조 개선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합병 법인은 SK온의 전기차·ESS 배터리 경쟁력과 SK엔무브의 윤활유·액침냉각 기술을 결합해 글로벌 ESS 시장을 공동 공략해나갈 방침이다. 이러한 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SK온은 재무건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오는 2030년 EBITDA를 10조원 이상 창출하고 부채비율을 100% 미만으로 낮춘다는 경영목표를 제시했다.

양사의 원활한 합병을 위해 SK이노베이션은 SK온과 SK엔무브의 2026년 기업공개(IPO) 계획을 철회하고 재무적 투자자(FI)가 보유한 양사 지분을 매입하기로 했다. 업계에선 이를 위해 SK이노베이션이 4조6000억의 내외 비용을 지출한 것으로 추정한다. SK이노베이션 재무 건전성에 대한 시장 우려가 커질 수 있는 부분이다.

이를 의식한 듯 SK이노베이션은 이날 대규모 자본확충으로 순차입금을 크게 줄이는 선제적 재무건정성 강화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제3자 유상증자 2조원과 영구채 발행 7000억원, SK온 제3자 유상증자 2조원,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의 유상증자 3000억원 등 5조원의 자본확충을 추진한다. 이어 리밸런싱으로 올 연말까지  3조원의 추가 자본확충에 나설 방침이다.

지주사인 SK㈜는 SK이노베이션 유증과 관련해 4000억원을 직접 출자하고, 유증에 참여하는 금융기관과 주가수익스와프(PRS) 계약을 체결한다.

장용호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은 "지금은 SK온 본연적 경쟁력 강화에 집중할 시기"라며 "합병법인 IPO 계획은 현재는 없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