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검팀은 이날 오전 9시경 검사 1명과 수사관 1명을 포함한 일행을 서울구치소에 보내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집행하려 했지만, 약 2시간 동안의 대치 끝에 별다른 성과 없이 철수했다. 앞서 서울중앙지법은 지난달 31일 특검이 신청한 체포영장을 발부했다. 영장 유효기간은 오는 7일까지다.
윤 전 대통령은 특검팀의 소환 통보에도 두 차례 불출석했다. 특검은 공직선거법 위반 등 혐의로 그를 소환했으나, 윤 전 대통령 측은 건강 악화를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조차 제출하지 않았다.
이번 체포영장 집행은 특검이 윤 전 대통령의 출석 불응을 '명백한 조사 거부'로 판단해 강제 조사 절차로 전환한 첫 시도였다. 하지만 구속 피의자라 해도 수용기관 내에서 조사실로 인치하는 데는 교정 당국의 협조가 필수적이다. 서울구치소 측은 과거 내란 특검의 인치 시도 때와 마찬가지로 “물리력 사용은 어렵다”며 협조에 난색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건희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2022년 대선 당시 ‘정치브로커’ 명태균씨로부터 수십 차례에 걸쳐 불법 여론조사를 받아보고, 그 대가로 김영선 전 의원 등의 공천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수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방선거를 비롯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도 조사 대상이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앞서 “건강상 이유로 수사 및 재판에 응하기 어렵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외부 진료를 위한 요청도 한 상태다. 그러나 특검은 “건강상의 특이사항을 전달받지 못했다”며 강제 조사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1
0 / 300
-
arc**** 2025-08-01 12:55:5960도 사우나를 자주 즐겨서 감빵 내부의 35도 정도는 견디기가 우스운게지... 변호인 접견도 불가하게 하고... 윤가 너는 그냥 줄기차게 사우나나 계속 즐기고 계셔~~ㅉ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