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 등과 무역 협상에서 시장 개방을 이끌어냈다고 자평했지만 실제로 일본 내 미국산 자동차 판매가 눈에 띄게 증가하긴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 뉴욕타임스(NYT)는 5일(현지시간) “일본이 미국차를 원할까?”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시장 개방 압박이 시험대에 올랐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에는 일본차 구매율이 높은 것에 비해 일본에서는 미국산 자동차 구매률이 낮다는 것을 오랫동안 불공정 무역의 사례로 지적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2일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일본과의 무역 협상 타결 소식을 알리며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은 일본이 자동차와 트럭, 쌀과 일부 농산물 등에서 자국 시장을 개방한다는 것”이라며 성과를 강조했다.
일본의 무역 협상 담당자는 시장 개방과 관련해 일본이 요구해 온 고유의 안전 기준과 검사 없이 미국산 자동차 수입을 허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최근 밝혔다고 NYT는 전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에는 한국과의 관세 협상 결과를 전하며 “한국은 미국과의 교역에 완전히 개방하기로 하고 자동차와 트럭, 농산물 등 미국산 제품을 받아들이겠다고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일부 무역 전문가들과 자동차 업계 관계자들은 이 같은 시장 개방 조치가 실제 미국산 자동차의 판매 증진으로 이어지긴 어렵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미국 자동차 업체들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 시장에서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일본은 이미 1970년대 후반부터 수입차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았는데 포드 자동차는 2016년 수익성 부족을 이유로 일본 시장에서 철수했다.
지난해 기준 일본 자동차 시장에서 미국차의 점유율은 1%에도 못 미친 반면, 한국 수입차 시장에서는 약 20%를 차지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일본 소비자들이 연비가 좋은 소형 차량을 선호하는 데다 좌측통행 국가 특성상 오른쪽에 차량 핸들이 위치해서 대형 SUV와 트럭 중심의 미국 자동차들이 일본 시장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기무라 쓰요시 일본 주오대 교수(전 GM 일본 지사 근무)는 “무역 장벽은 결코 문제가 되지 않았다”며 “일본이 자동차 시장 개방을 선언하더라도 미국산 자동차가 팔릴 가능성은 작다”고 전망했다.
또 기무라 교수는 “시장의 기본적인 수요를 고려하면 미국산 자동차는 (일본 시장에) 적합하지 않다”며 일본 자동차 시장은 작고 이미 포화 상태라 미국 자동차 업체가 일본 소비자 수요에 맞는 차량 개발에 적극적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