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상 SKT 대표 "자사 AI 전략 더 변화해 나갈 것"

  • SKT, 3개월만 비상경영 체제 종료…유영상 대표 '정부-이통사 AI 투자협력 선언식' 참석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12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정부-이통사 AI투자협력 선언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최연재 기자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12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정부-이통사 AI투자협력 선언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최연재 기자



유심칩 해킹 이후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했던 SK텔레콤이 3개월 만에 종료하고 일상 업무로 복귀했다. 정부가 주도하는 독자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기업으로 선정된 SKT는 AI 사업 전략을 다변화해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유영상 SKT 대표는 1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연 ‘정부-이통사 AI 투자협력 선언식’ 직후 기자들과 만나 “글로벌과 국내 AI 환경 변화에 맞춰 자사 AI 전략에도 더 많은 변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유 대표는 “기본 방향은 자강(自强)과 협력”이라며 “자체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독자 개발과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병행하는 원칙은 유지하되 세부 전략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AI 투자 성과와 관련해 그는 “인프라 사업은 빠른 시일 내 성과가 가능할 것”이라며 “울산 AI 데이터센터를 비롯해 데이터센터 부문이 먼저 가시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통신사 내부 혁신과 SK그룹 제조사 지원, 나아가 제조 AI를 통한 국내 산업 혁신까지 가야 하지만, 서비스 부문은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글로벌 AI 투자 성과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엔트로픽, 퍼플렉시티 등 글로벌 AI 기업에 전략적으로 투자해왔고, 일부는 2년 새 50배 이상 성장하는 등 성과가 나타났다”며 “국내 AI 기업 투자도 병행해왔으며, 이 역시 조만간 가시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대형 사업 수주와 관련해서는 “챗GPT 등장 전부터 AI 컴퍼니를 선언하고 GPT-2 시절부터 독자 모델을 개발해왔다”며 “오픈소스와 독자 모델을 병행하며 기술력을 쌓아온 것이 이번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 큰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그는 “AI 데이터센터, 에이다스 등 장기간 준비해온 사업들이 앞으로 성과를 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통 3사가 출자하는 이번 AI KIF 펀드도 SKT가 최대 출자자로 참여한다. 유 대표는 “앞서 투자한 KIF 펀드도 초기 3000억원 규모 중 1900억원을 출자했다”며 “이번에도 SKT가 최대 출자사로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