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철강사와 조선사들이 3분기 조선용 후판 가격 협상을 벌이고 있다. 후판은 두께 6㎜ 이상 강판으로 선박 건조에 쓰이는 주요 자재로 후판가에 따라 철강사와 조선사의 수익성에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업계에서는 후판이 수천억원에 달하는 선박 제조 원가의 약 15~20% 정도를 차지한다고 본다. 철강사와 조선사는 분기별로 후판 가격을 조정 중이다. 후판 공급가는 2023년 상반기 t당 100만원 수준이었지만, 지난해 80만원대 중후반으로 꺾였다가 올해 상반기 협상에서는 t당 약 80만원 수준으로 가격을 회복했다.
현재 철강사들은 미국 관세와 중국산 저가 후판의 국내 유입을 이유로 t당 100만원 수준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중국산 저가 후판의 국내 유입으로 피해를 보고 있는 데다 최근 미국 정부로부터 50% 고율 관세까지 부과받게 되면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돼서다.
하지만 조선업계는 가격 동결 및 인하를 요구하고 있다. 글로벌 선박 수주가 급감하고 있는 상황에서 후판 단가까지 인상되면 조선사들의 선박 건조 원가 부담이 커져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잃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 조선사들도 올해 하반기 고금리와 지정학적 불확실성 등으로 수주 절벽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날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7월 한국의 선박 수주량은 33만CGT(표준선 환산톤수·8척)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같은 달보다 37% 줄어든 수치다.
업계는 후판가에 대한 조선·철강업계 의견이 첨예하게 갈리는 만큼 관련 협상 결론이 쉽게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선 중국산 후판에 대한 반덤핑 본판정이 나오는 이달 말 이후가 돼서야 제대로 된 협상 논의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란 의견이 나온다.
앞서 현대제철은 중국산 후판과 일본·중국산 열연강판에 대해 반덤핑 제소에 나섰고, 이로 인해 지난 2월부터 중국산 후판에 최고 38.02%의 잠정 관세가 부과되고 있다. 해당 잠정 조치는 8월 23일까지 유효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하반기 후판가 협상에서도 양측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며 "중국산 후판 가격이 국내 철강사는 물론 조선사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치는 만큼, 3분기 후판가 협상도 9월이 돼서야 본격적인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