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돈 농진청장 "농업 육성 위해 AI 기반 첨단기술 활용 확대"

  • 저비용 스마트팜·고부가 바이오 기술 개발 목표로 언급

  • 토마토 농장 방문…"친환경 농가 위한 방제 개발할 것"

이승돈
이승돈 신임 농촌진흥청장이 17일 가을 작기를 시작한 시설 토마토재배 농가를 방문해 '토마토뿔나방' 방제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농촌진흥청]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국가전략산업으로서 농업의 육성을 위해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 활용을 확대하겠다"고 17일 말했다. 

이 청장은 이날 배포된 취임사를 통해 "농경지와 시설을 기반으로 다양한 경험과 데이터를 축적해 온 우리 농업기술의 강점을 살려 작물 생육, 병해충 발생 정보, 축산 사양 관리 등 현장의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AI 기반의 시설·노지·축산분야 스마트 데이터 농업 체계를 확립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청장은 저비용 스마트팜과 고부가가치 바이오 기술 개발을 목표로 내세웠다. 그는 "모든 농가가 활용할 수 있는 중소농 맞춤형 스마트온실 모델 개발과 개방형 온실통합관리 플랫폼 상용화 등 저비용의 스마트팜 기술을 확산하겠다"며 "국내외 다양한 식물 유전자원도 확보해 민간과 함께 고부가가치 그린바이오 원천기술과 산업화 기술을 개발해 보급하겠다"고 말했다. 

기후위기 대응에도 선제적으로 나서고 식량주권 확보에도 힘쓸 계획이다. 이 청장은 "고온·가뭄·병해충 등에 강한 고품질 품종을 보급하고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 전국 확대 등 기후적응형 농업을 지원하겠다"며 "외래 품종을 대체하는 우량 신품종을 개발하는 등 식량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농업 현장의 다양한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농업기술 보급도 약속했다. 이 청장은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급증하고 있는 병해충 피해 최소화를 위해 사전 예찰과 신속 방제 등 현장 대응을 강화하겠다"며 "고위험 식물병원체 연구시설을 활용해 예찰·진단·방제 기술 개발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청장은 이날 취임 후 첫 일정으로 전남 담양에 있는 친환경 시설 토마토 농장 2곳을 방문해 하반기 작기 진행 상황과 토마토뿔나방 방제 상황부터 확인했다. 이들 농가는 지난해 토마토뿔나방 피해를 봤지만 올해 봄 작기부터 방제에 힘써 토마토뿔나방 발생 피해를 줄였다. 

이 청장은 "친환경 시설 토마토 농가에서는 성충을 물리적으로 포획하는 끈끈이트랩과 유충을 방제하고 발육을 억제하는 유기농업자재를 활용하면 방제 효과가 높다"며 "친환경 농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기농업자재 연구와 방제 기술개발에 몰두한 뒤 보급까지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