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한·미 훈련 가장 적대적 의사표명…핵무장 급진적 확대"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사진=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한·미 연합훈련 '을지 프리덤 실드(UFS)'가 시작된 18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이를 강하게 비난하며 해군의 핵무장화 계획을 공식화했다.

조선중앙통신은 19일 김 위원장이 평안남도 남포조선소를 방문해 5000t급 신형 구축함 '최현호'의 무장체계 통합운영 시험 과정을 점검했다고 전했다. 이 자리에서 김 위원장은 "한·미 연합훈련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가장 적대적이고 대결적인 의도를 여실히 드러낸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미국과 한국의 군사적 결탁과 무력 시위는 명백한 전쟁 도발 행위”라며 “현존하는 군사 리론과 실천에서 급진적인 변화와 핵무장화 확대가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특히 "최근 연합훈련은 핵 요소가 포함된 군사 결탁 시도로, 그 위험성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김 위원장은 해군력 강화를 강조하며, “해군의 작전능력 향상은 국가 지정학적 특수성과 무력 발전 차원에서 최우선 과제”라며 “해군이 가까운 미래에 국가 핵무력의 일익을 담당하는 믿음직한 전력이 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는 "국가 안보를 수호하는 가장 확고한 방법은 적이 우리를 두려워하도록 만드는 것"이라며, 핵무장화의 지속 추진 의지를 거듭 천명했다. “국가 방위력 강화 조치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며, 실질적 행동으로 보여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최현호의 시험 과정을 점검하며 해군의 첨단화 및 핵무장화가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 만족을 표했다. 이어 8~9월 중 예정된 사업을 마무리하고, 10월 중으로는 구축함의 성능과 작전 수행 능력 평가 단계에 진입할 것을 지시했다.

북한은 앞서 지난 4월 26일 최현호를 첫 공개한 데 이어, 5월에는 두 번째 같은 급의 구축함을 공개했으나 진수식 중 좌초 사고가 발생해 곤욕을 치렀다. 이후 해당 함정을 수리해 ‘강건호’로 재진수했고, 7월에는 최현급 구축함을 2026년까지 매해 두 척씩 배치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이번 김 위원장의 발언은 북측 해군력을 전면 재편하고 핵전력과 통합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한·미 연합훈련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북한의 군사적 대응 수위 또한 점차 높아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