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시모집 인원은 총 4191명(정원 외 334명 포함, 2026학년도 입학 정원 4661명)이다. 정원 내 학생부교과 2542명(일반 학생 1429명, 지역 인재 903명, 기회균형(일반) 168명, 지역기회균형(의약) 4명, 의학창의인재 8명, 군사학특별 30명), 학생부종합 965명(잠재능력우수자 950명, 지역 인재(의약) 15명), 실기/실적 350명(실기 319명, 특기자 31명), 정원 외 학생부교과 189명(농어촌학생 184명, 약학고른기회 5명), 정원 외 학생부종합 145명(특성화고교졸업자 65명, 특성화고졸재직자 80명) 등 다양한 전형으로 신입생을 선발한다.
특히 올해 수시모집 의예과에서는 학생부종합전형을 처음 도입해 지역인재전형(의약)에서 10명을 선발한다. 또한 의예과, 약학부 수능최저학력기준에서 한국사는 응시 여부만 확인하는 것으로 변경됐으며 졸업자의 학교생활기록부성적 반영 학기가 3학년 2학기까지에서 3학년 1학기까지로 변경됐다.(졸업예정자는 기존과 같이 3학년 1학기까지 반영)
예·체능계열 실기고사는 오는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모집 단위 별 또는 실기 과목 별로 시행하며, 합격자 발표는 실기 전형과 특기자 전형은 오는 11월 11일, 그 외 전형은 오는 12월 12일이다.
이와 함께 영남대학교는 꾸준한 교육편제 개편으로 사회 수요 맞춤형 인재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교육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사회와 산업 구조 변화를 능동적으로 이끌어갈 인재를 키우기 위해 영남대가 선제적으로 나섰다는 평가다.
영남대는 2025학년도에 디지털융합대학에 차세대반도체학과와 스마트모빌리티학과를 신설했다. 국가 첨단전략사업이며 차세대 성장 동력 산업인 반도체 산업에서 인성과 실력을 갖춘 현장형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차세대반도체학과는 수시모집에서 25명을 선발한다.
한 자율주행, 전기자동차, 지능형 로봇 등 미래 신기술 산업을 선도할 인력 양성을 위해 온라인 학위 과정으로 스마트모빌리티학과는 수시모집에서 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으로 30명을 선발한다.
융·복합형 인재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점점 커지고 있는 가운데 영남대 전공자유선택학부도 주목된다. 전공자유선택학부는 유연한 학사 구조와 자유전공을 통해 다양한 전공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전공자유선택학부 학생들은 자신에게 필요한 학문적 배경과 산업 생태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융·복합 역량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올해 전공자유선택학부의 입학 정원이 지난해 362명에서 409명으로 확대됐다.
우수한 연구력을 바탕으로 의료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영남대 의예과는 2026학년도에 수시모집에서 일반 학생 8명, 지역 인재 21명, 지역 기회균형(의약) 2명, 의학창의인재 8명, 지역 인재(의약) 10명, 농어촌학생 3명을 모집하며, 정시 모집에서 일반 학생(나군) 12명, 지역 인재(나군) 15명 등 총 79명을 모집한다.
70여 년의 전통과 5000여 명의 동문을 자랑하는 영남대 약학부는 수시모집에서 일반 학생 15명, 지역 인재 17명, 지역기회균형(의약) 2명, 지역 인재(의약) 5명, 농어촌학생 5명, 약학고른기회 5명과 정시 모집 일반 학생(나군) 16명, 지역 인재(나군) 15명으로 총 80명을 모집한다.
아울러 한국의 글로벌 위상과 국제사회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2023학년도에 신설된 글로벌인재대학도 눈에 띈다. 글로벌인재대학에는 국제적 수준과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 과정과 인프라를 구축해 해외의 우수 인재들이 수학 할 수 있는 교육·연구 환경을 조성해 나가고 있다.
글로벌인재대학에는 중국언어문화학과, 글로벌교육학부(국제한국어교육전공), 글로벌비즈니스학과, 글로벌통번역학부(영어통번역전공, 응용중국어통번역전공) 등에서 한류 전파를 이끌 한국어 교육 전문가, 경영학적 지식과 글로벌 소통 능력을 겸비한 글로벌 비즈니스 전문가, 국제 사회에서 다양한 교류·협력을 선도할 통·번역 전문가 등 전 세계를 무대로 활약할 글로벌 인재를 육성한다.
또한 국제개발새마을학과에서는 공적개발원조, 글로벌 기업의 사회 공헌 분야 수요 증대에 대응해 새마을 전문가이자 지구촌 공동 과제 해결을 위한 실천가를 양성한다.
군사학과도 대구·경북 지역에서 유일하게 육군과의 협약을 통해 선발하는 학과다. 입학생 전원에게 4년 간 등록금 전액을 장학금으로 지급하고, 생활관 우선 선발 기회를 제공한다. 졸업 후 육군 장교로 전원 임관되며 의무복무기간 후에는 장기 복무 지원이 가능해 군 전문가로서의 경력을 이어 나갈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