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이 미·일 간 관세 합의에 따라 미국 내 조선업 투자를 추진하고 있지만 일본 조선업체들이 대(對)미국 투자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고 닛케이아시아가 20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조선업계는 한국과 달리 인건비와 취약한 공급망 등을 이유로 미국 시장 진출에 적극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최대 조선사 이마바리조선의 히가키 유키토 회장은 지난달 23일 미·일 무역협상 타결 직후 실적 발표에서 “현재로서는 미국에 자본을 투자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일본 정부가 미국과의 조선 협력을 요청했으나 “일본의 조선 점유율은 13%까지 떨어졌다. 우리는 미국을 도울 입장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일본 내 생산량을 늘리는 데 자금을 투입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일본은 미국과의 관세 합의에 따라 상호관세를 15%로 낮추는 대신 총 5500억 달러(약 769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했다. 미국 백악관은 이와 관련해 “새로운 조선소와 기존 시설의 현대화를 비롯해 상선 및 해양 방산에 대한 투자가 포함된다”고 설명했고, 일본 정부 역시 “양국 모두 혜택을 볼 수 있는 탄력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해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대미 투자를 둘러싼 당국과 민간의 입장차가 뚜렷하다고 닛케이아시아는 지적했다. 현재 일본 업체들은 대미 투자뿐만 아니라 미 해군 함정의 일본 내 수리에도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히로시 니시오 미쓰비시중공업 최고재무책임자(CFO)는 “현재 (미국 군함 수리 확대에 대해) 구체적인 논의는 없으며, 이를 위한 여력도 없다”며 “정부 정책에 따라 협력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한국 조선업계는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미국과의 합의를 통해 1500억 달러 규모의 조선 협력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으며, 업계는 한미 조선 협력 방안인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를 본격 논의 중이다.
닛케이아시아는 한국이 세계 조선 시장 점유율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대·삼성·한화 등 대기업 계열 조선사를 중심으로 규모가 크고 의사결정이 빠른 것이 특징이라고 전했다. 또 외국인 노동자와 로봇을 활용해 인력난을 완화하는 등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첫 한국계 미국 상원의원인 앤디 김(민주·뉴저지)과 태미 덕워스(민주·일리노이) 상원의원은 지난 17일(현지시간)부터 한국과 일본을 방문하는 아시아 순방을 진행하며 미국과의 조선 분야 협력 방안을 구체화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