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주가 자국 주재 이란 대사를 전격 추방했다. 호주 내에서 벌어진 반(反)유대주의 공격 행위에 이란 정부가 연루됐다는 의혹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26일(현지시간) 미국 NBC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는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이란 정부가 최소 2건의 호주 내 반유대주의 방화 사건을 지휘했다는 신뢰할 만한 정보를 수집했다고 밝혔다.
호주안보정보원(ASIO)은 조사 결과 지난해 10월 시드니의 코셔(유대교 율법을 준수하는 식재료) 식품회사에 대한 공격, 12월 멜버른의 유대교 회당에 대한 공격을 이란 혁명수비대가 지시했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앨버니지 총리는 전했다. 이들 공격에서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앨버니지 총리는 “이는 호주 영토 내에서 외국이 조직한 매우 보기 드물고 위험한 침략 행위”라며 “사회적 결속력을 약화시키고 우리 공동체에 불화를 조장하려는 시도였다.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에 호주 정부는 아흐마드 사데기 주호주 이란 대사를 ‘외교상 기피 인물’로 지정하고, 그와 다른 외교관 3명에게 7일 안에 호주 밖으로 나갈 것을 명령했다.
앨버니지 총리는 테헤란 주재 호주 대사관의 업무를 중단하고 이란 주재 호주 대사 등 자국 외교관들을 제3국으로 안전하게 철수시켰다고 말했다.
페니 웡 호주 외교부 장관은 호주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외국 대사를 추방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또 호주 국민에게 이란 여행을 고려하지 말고 현재 이란에 머물고 있으면 지금 당장 이란을 떠나라고 촉구했다.
앨버니지 총리는 이란 혁명수비대도 테러조직으로 지정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마이크 버지스 ASIO 원장은 이란 측이 확인된 공격 2건 외에도 추가 공격을 지시했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관련해서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호주 주재 이스라엘 대사관은 이번 추방과 관련해 “강력하고 중요한 조치”라며 환영했다.
이스라엘 대사관은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 “이란 정권은 유대인이나 이스라엘에만 위협이 되는 게 아니라 호주를 포함한 자유 세계 전체를 위험에 빠뜨린다”고 적었다.
호주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의 전쟁이 시작된 이래 유대인 관련 방화, 주택 파손 등 반유대주의적 폭력 사건으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다.
하마스는 2023년 10월 7일 이스라엘 남부를 기습하며 약 1200명을 살해하고 251명을 납치했다. 이후 이스라엘은 전면전을 선언했고 가자지구 전쟁이 발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