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엔지니어링이 안전관리 인력을 대폭 늘리고 관련 조직을 신설하는 등 중대재해 방지를 위해 안전관리 총력전에 나선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안전기준과 조직, 문화에 대한 전면적인 강화 등 '안전 최우선' 가치 실현에 전사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우선 건설기계 사용, 철거, 터널 굴착 등 10개 공종을 고위험 작업으로 지정하고 이들 작업에 대한 본사의 사전 검토 절차를 강화했다. 앞으로 현장에서 10대 고위험 작업을 진행하려면 매주 안전품질본부장과 사업본부장 주관으로 열리는 '리스크 모니터링 회의'에서 사전 검토와 승인을 받아야 한다.
안전관리 인력도 지난달 말 기준으로 1139명 확대해 안전관리 인력 대비 근로자 비율을 종전 1대 25 수준에서 1대 11 수준으로 강화했다. 본사 소속 안전관리 인력을 추가로 투입하고, 협력사에 대한 안전관리 인력 배치 기준도 높였다.
협력사 공사 금액 20억원 이상, 철근콘크리트·철골·토목 등 7대 위험 공종 작업 시에도 안전담당자 선임 및 고위험 작업 진행 시 안전감시자 의무 배치 규정도 마련했다. 강화된 규정에 따라 추가된 협력사 안전관리 인력 비용은 현대엔지니어링이 부담하기로 했다.
고위험 작업인 타워크레인과 달비계의 작업 중단 풍속 기준도 산업안전보건법상 기준보다 엄격한 초속 5∼10m로 두는 등 고소작업 안전 기준도 강화했다.
이와 함께 현대엔지니어링은 안전관리 체계의 전문성과 실행력을 높이고자 지난 5월 안전품질지원실을 신설하고, 국내외 전 현장 안전점검과 모니터링을 담당할 안전진단팀을 확대하는 등 안전조직 개편도 단행했다.
확대 개편된 안전진단팀에는 폐쇄회로(CC)TV 안전관제센터를 신설해 국내 현장에 설치된 약 800대의 고정형·이동형 CCTV를 통해 작업 환경을 상시 모니터링한다. 안전 위반 사항이 발견되면 현장 작업을 즉시 중지하고, 부적합 사항에 대한 조치 후 본사 승인을 얻어야 작업을 재개하도록 했다.
주우정 대표이사를 비롯한 전 경영진은 지난 3월부터 총 820회의 현장 안전점검을 다니는 등 전사적으로 안전 문화를 확산하는 데도 주력하고 있다. 올 4월에는 모든 현장 직원을 대상으로 작업중지권 사용에 관한 교육을 진행했고, 최근에는 작업중지권 사용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자 우수사례 포상 제도도 시행 중이다.
아울러 단일 현장에서 3개 부분 이상이 동시에 작업중지되거나 이전과 동일한 문제로 작업이 중지되면 현장 작업을 전면 중단하고, 본사 특별감독팀을 현장으로 파견해 작업 재개 여부를 결정하는 등 개별 현장의 작업중지권 사용까지 본사에서 관리감독한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산업 전반에 안전 최우선 문화가 확산될 수 있도록 선도적 역할을 다하며, 근로자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