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 톈안먼(天安門)에서 열리는 전승절 80주년(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열병식에 참석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이 이번 방중을 계기로 다소 주춤했던 북·중·러 밀착 행보를 가속화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의 열병식 참석이 '첫 다자외교 데뷔 무대'가 되는 만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나 북·중·러 3국 협력의 확대 필요성을 강조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김 위원장이 그동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러시아와 밀착 행보를 이어가면서 멀어졌던 중국과의 관계를 복원시키려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고 진단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명예교수는 김 위원장의 방중 목적은 "외형상 북·중·러 연대 부각이지만 실제로는 북·중관계 복원에 방점이 찍혔다"고 평가했다. 이어 "김 위원장 체류 기간에 북·중 정상회담을 여는 건 양국의 전략"이라며 "(회담에서) 중국은 한반도 영향력 유지에, 북한은 경제협력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 방중 첫날 경제 관련 기업 방문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부소장은 "김 위원장은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을 통해 북·중·러 3국 협력의 확대 필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이어 "김 위원장의 중국 전승절 기념행사 참석을 통해 북·중·러 관계가 더욱 긴밀해지고 북·중 간 경제협력이 더욱 확대된다면 한국은 더욱 심각한 안보 위협에 직면하게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정 부소장은 "북한과 중국이 핵무기를 급속도로 늘려가면서 동북아에서 핵 비확산 체제가 이미 붕괴됐다. 북한이 한국 정부의 '유전병'으로 간주하는 북한 비핵화 목표에 계속 집착한다면 한국의 안보 환경은 더욱 악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또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이 이재명 대통령의 방일·방미를 계기로 한·미·일 협력이 강화되는 것에 대한 대응 성격도 있을 것"이라면서 "방중을 통해 이란과 같이 매우 우호적인 국가들과의 협력 확대를 모색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