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동적 시각화 분석 도구' 도입

  • 3차원 데이터 한눈에 보고 분석 가능한 DIVA…정보 활용도 향상 기대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 사진유대길 기자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 [사진=유대길 기자]
앞으로 금융통계정보시스템(FISIS)을 통해 금융사 재무정보를 활용하는 과정이 용이해진다.

금융감독원은 FISIS에 수록된 금융사 재무정보 활용을 위한 동적 시각화 분석시스템(DIVA)을 2일 공개했다.

DIVA는 △시간(시점) △회사(그룹) △계정으로 구성된 3차원 데이터를 한눈에 보고 한번에 분석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다. 시간축은 시계열 그래프, 회사·계정 축은 계층구조가 잘 나타나는 ‘트리맵’ 인터페이스가 적용됐다.

새 시스템을 활용하면 별도의 절차 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금융사 재무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분석할 수 있다. 통계표 형태로 제공됐던 기존 금융통계정보시스템은 이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내려받아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신속한 연계 분석이 가능한 것도 DIVA의 특징이다. 예컨대 금융산업 내 특정 자산이나 부채가 급증했을 때, 원인이 되는 금융사를 특정해 그 해의 다른 자산·부채의 변화 또는 중장기 시계열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많은 양의 재무정보를 별도의 과정 없이 시스템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보 수요자의 편의성·활용성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DIVA를 통해 총 4933개 금융사의 1만5438개 계정항목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수요에 따라 제공하는 정보를 점차 확대할 계획”이라며 “데이터기술을 활용한 업무 혁신을 통해 금융소비자의 정보 접근성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