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청 부산본부세관은 2일 코데인·덱스트로메토르판이 함유된 감기약 등 마약성 의약품을 밀수입한 20대 2명과 10대 1명을 검거하고 이들을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루 불구속 송치했다.
부산세관은 일본발 국제우편 속에 마약성 의약품을 은닉한 밀수 사건을 수사해 부산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남학생 A씨(23)를 검거했다.
A씨는 환각 효과를 노리고 마약성 의약품을 과다 복용하는 일명 '오디'를 목적으로 해외직구를 통해 미국, 일본 등에서 코데인과 덱스트로메토르판이 함유된 감기약 등 마약성 의약품 총 2188정을 구입해 17회에 걸쳐 분산 밀반입했다.
특히 A씨는 환각효과를 얻기 위해 마약성 의약품을 한 번에 최대 100정(1회 복용량: 1정)까지 복용하고, 세관 조사를 받고 귀가한 당일에도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고 마약성 의약품을 다시 주문할 정도로 심각한 중독 증세를 보였다.
세관 수사팀은 A씨의 진술과 휴대폰 포렌식 분석을 통해 '오디' 관련 SNS 비공개 단체 채팅방에서 정보를 얻어 마약성 의약품을 밀수입·복용한 B씨(여·22)와 C씨(여·17)를 추가로 적발했다.
B씨는 마약성 의약품 총 1688정을 11회에 걸쳐 분산 밀반입했으며, A씨의 세관 검거 사실을 알게 된 후에도 밀반입을 계속했다. 세관에 적발돼 1차 조사를 받고 난 후에도 다른 비공개 채팅방으로 옮겨 활동을 이어가는 등 중독에서 쉽사리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고등학생인 C씨는 B씨가 주로 활동하던 '오디' 관련 SNS 단체 채팅방에서 활동하며 다수의 마약성 의약품을 밀반입하다 적발됐으며, C씨가 처음 '오디' 관련 커뮤니티를 접한 시기는 중학생 때로 확인됐다.
세관의 조사에 따르면 이들 단체 채팅방은 익명성과 폐쇄성을 위해 참여 인원을 제한하고, '오디 중독 체크리스트'를 제작해 구성원을 은밀하게 관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환각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 등을 SNS에 공유하고, 오프라인에서 술과 함께 마약성 의약품을 과다복용하는 '환각 파티'를 열기도 했다.
부산세관 관계자는 "해외직구·SNS 활성화로 마약류에 대한 정보가 10·20대 사이에서 쉽게 공유되고, 마약류에 처음 노출되는 연령 또한 점차 낮아지고 있다"며 "단순한 호기심에서 시작된 '환각 놀이'는 심각한 마약류 중독과 형사처벌로 이어진다는 것을 반드시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