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아주경제
SGI·웰컴 이어 롯데카드도 뚫렸다…금융권, 보안 잇단 붕괴에 '초긴장'
SGI서울보증, 웰컴금융그룹에 이어 롯데카드마저 해킹 공격에 뚫리면서 금융권 전반에 비상이 걸렸다. 주요 금융사가 잇따라 전자금융 침해사고를 당하자 '금융보안의 근간이 흔들리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일 롯데카드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달 26일 서버 점검 과정에서 일부 서버가 악성코드에 감염된 사실을 확인했다. 회사는 즉각적으로 감염된 3개 서버를 삭제했으나, 사태는 여기서 멈추지 않았다. 31일에는 온라인 결제 서버에서 외부 공격자가 자료를 빼내려 한 흔적이 추가로 포착됐다. 롯데카드는 전날 금융당국에 전자금융 침해사고 발생 사실을 신고했다.
내부 조사 결과 현재까지 고객 개인정보 유출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잠정적으로 유출된 데이터 규모가 약 1.7기가바이트(GB)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카드 번호나 결제 정보 등 민감한 개인정보가 포함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금융권 전체가 긴장하는 분위기다.
해양수도권 만든다…북극항로 시대 주도·AX 전환 박차
정부가 북극항로 시대를 선도하고 해양수산 전 분야에 걸쳐 인공지능 전환(AX)을 추진하기 위해 신성장 동력 확보에 나선다. 또한 해양수도권 조성을 위해 1조7749억원을 투입해 대규모 스마트 항만 건설에도 시동을 건다.
우선 북극항로 개척에는 5499억원을 투입해 기반을 마련한다. 쇄빙선 건조 지원에 110억원, 차세대 쇄빙연구선 기술 개발에 677억원을 배정했으며 극지 해기사 양성 교육 시스템도 새로 구축한다.
글로벌 물류 허브 도약을 위한 거점 항만 육성에도 속도를 낸다. 항만 인프라 확충에는 1조6600억원을 투입한다. 부산항 진해신항 건설(4622억원), 광양항 자동화 테스트베드 조성(658억원) 등이 대표적이다. 수출입 화물을 원활하게 수송하기 위해 교량·진입도로 등 기반시설도 확충한다.
'개인정보 유출' 재연되나…10년 지나도 금융보안 '불안불안'
960만명이 넘는 고객을 보유한 롯데카드가 해킹을 당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2014년 불거진 카드사 개인정보 유출 사태 이후 금융당국이 재발 방지 종합대책을 내놓은 지 11년이 지난 지금도 금융보안이 불안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만 법인보험대리점(GA) 2곳, SGI서울보증, 웰컴금융그룹 계열사, 롯데카드 등 금융사 5곳이 해킹 피해를 입었다. 특히 GA 해킹으로 인해 고객 548명과 임직원·설계사 559명 등 총 1107명의 개인정보와 일부 신용정보가 유출됐다.
롯데카드는 아직 해킹으로 인한 고객정보 유출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지난달 14~15일 해킹이 이뤄진 이후 같은달 31일까지 해킹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는 게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최근 잇따르는 해킹 사고가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태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앞서 SKT 해킹으로 2600만건이 넘는 유심 정보가 유출된 것처럼 금융권에서도 이와 같은 일이 반복된다면 대형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만 법인보험대리점(GA) 2곳, SGI서울보증, 웰컴금융그룹 계열사, 롯데카드 등 금융사 5곳이 해킹 피해를 입었다. 특히 GA 해킹으로 인해 고객 548명과 임직원·설계사 559명 등 총 1107명의 개인정보와 일부 신용정보가 유출됐다.
롯데카드는 아직 해킹으로 인한 고객정보 유출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지난달 14~15일 해킹이 이뤄진 이후 같은달 31일까지 해킹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는 게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최근 잇따르는 해킹 사고가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태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앞서 SKT 해킹으로 2600만건이 넘는 유심 정보가 유출된 것처럼 금융권에서도 이와 같은 일이 반복된다면 대형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해고 절대 안 돼" vs "노조 등쌀에 난항"...노사 갈등, 석화 구조조정 최대 걸림돌로
공멸 위기에 처한 석유화학 업계가 자율적으로 나프타분해시설(NCC) 25% 감축에 나서기로 한 가운데 노동조합의 반발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설비 감축이 정리 해고로 이어질 것을 우려해 고용 유지 압박 수위를 높이는 모습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주요 석화 기업들이 NCC 통합·폐쇄 등 자구책 마련에 나섰지만 장기 근속자 중심의 노조 반발에 쉽사리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내년 3월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개정안)이 시행되면 노조 반발의 강도가 한층 높아질 것이란 우려가 함께 나온다.
롯데케미칼 노사는 노조 측의 강력한 요구로 지난해 6월 고용안정협약을 맺은 데 이어 올해 7월 고용안정협약서를 작성해 명문화했다. 회사 사정이 더 어려워져도 정리 해고가 어렵게 됐다. 롯데케미칼은 중국발 저가 석화제품 공세로 인한 누적 적자를 견디지 못하고 지난해 12월 여수 2공장 가동을 중단한 데 이어 올 상반기 대산 공장 일부도 가동 중단했다.
부도 위기에 몰려 모회사인 한화·DL그룹이 3000억원을 긴급 수혈한 여천NCC도 상황은 비슷하다. 노조는 올해 임단협에 나서면서 "석화 개편은 노동자 보호가 중심이 돼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성명서를 발표했다. 업계에선 회사 재무 위기가 불거진 후 DL그룹에서 여천NCC 상근임원으로 파견한 정재호 기획총괄 전무를 겨냥해 노조가 실력 행사에 나선 것으로 본다. 정 전무는 DL그룹 지주사 최고재무책임자(CFO)를 맡았던 인사로, 여천NCC 회사 분할과 설비 매각·정지 등 자구책을 찾기 위해 파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