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에 따르면, 문체부의 2026년 예산안은 전년 대비 10.3%(7290억원) 증가한 7조7962억원으로 편성됐다. 이는 2020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로, K-컬처의 성장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문화예술 부문에 올해 예산 대비 10.8% 증가한 2조6388억원이, 콘텐츠 부문에 26.5% 증가한 1조6103억이 배정됐다. 관광 부문에는 9.4% 증가한 1조 4740억 원을, 체육 부문에는 0.3% 늘어난 1조 6795억 원을 편성했다.
문체부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불지핀 K-컬처 열풍이 전 세계에 뿌리내리도록 콘텐츠산업의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데 집중한다. 중대형 규모의 공연형 아레나 구축을 위한 기본 연구(5억원)에 나서고, 콘텐츠 인공지능 전환 혁신의 기반이 될 전략 펀드(미래전략분야 신설, 500억 원)와 모태펀드 출자도 확대한다.
K-콘텐츠 복합문화공간 조성(155억원)을 비롯해 청년들이 국제적 감각과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청년 K-컬처 글로벌 프런티어 사업’(70억원)을 새로이 추진한다. 현재 분산되어 있는 재외한국문화원, 한국관광공사 해외지사 등 해외 문화 기반을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집적화하는 등 ‘글로벌 K-컬처 허브’(2597억원)를 단계적으로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문화예술에 대한 투자도 대폭 확대한다. 예술기업이 자생력을 키울 수 있도록 신용 및 담보력을 지원하는 예술산업 분야 금융지원 사업(융자 200억원, 보증 50억원)을 신설하고 예술인 복지금고(50억원)를 조성한다. 청년예술인이 창작에 전념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창작활동을 지원하는 사업(180억원)도 신설한다. K-뮤지컬 지원(241억원), K-문학 지원(206억원) 등을 통해 뮤지컬과 문학 부문의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지역민들이 일상에서도 수준 높은 공연과 전시를 마음껏 즐길 수 있도록 지역공연과 전시 예산(971억 원)을 대폭 확대한다.
스포츠 분야에서는 기술 혁신 기업 육성을 위해 100억 원 규모의 테크펀드를 새롭게 마련한다. 관광 분야에서는 6405억 원 규모의 융자와 730억 원 규모의 관광기업 육성 펀드를 조성한다. 특히, 관광기업 육성 펀드에 지역관광 활성화와 인공지능(AI) 특성화 분야를 처음으로 도입해 관광산업의 혁신과 미래 경쟁력 제고를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다.
인구감소 지역을 대상으로 국민이 해당 지역을 여행할 때 지출한 금액의 일부를 지역사랑 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신규사업인 지역사랑 휴가지원제(65억원)를 도입해 지역관광을 활성화한다. 정부‧기업‧근로자가 함께 휴가비를 적립해 근로자의 국내 여행경비를 지원하는 근로자 휴가지원 사업의 규모도 기존 70억원에서 107억원으로 확대한다.
이외에도 한국관광 해외광고(345억원), 관광기업 오픈이노베이션 특화 프로그램(30억원), 글로벌 관광특구(32억원), K-지역관광 선도권역 프로젝트(50억 원), K-푸드로드 문화관광 활성화(25억 원), 한류·미식·축제·해양·섬·산림 등 연계 관광(483억 원) 등도 마련했다.
공공체육시설 개·보수(883억 원), 어르신 대상 스포츠 프로그램 지원(75억 원), 예비국가대표 양성(30억원), 은퇴선수 일자리 지원(80억 원) 등을 통해 생활체육과 전문체육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저소득층과 청년들의 문화예술 경험 기회를 두텁게 보장하기 위해, 통합문화이용권(문화누리카드) 지원금을 연간 15만 원으로 1만 원 인상하고, 청소년과 생애전환기에 해당하는 대상자에는 1만 원을 추가 지원한다. ‘청년문화예술패스’의 지원 규모를 기존 19세, 16만 명 대상에서 19∼20세, 28만 명으로 확대한다. 지역 간 문화누림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비수도권 청년에게 5만 원을 추가로 지급한다.
무장애 관광(146억원), 청소년·어르신 맞춤형 관광 프로그램(31억원) 등을 통해 무장애 관광환경도 적극 조성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