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권과 성평등 가치를 강조하는 진보 정당에서 연이은 권력형 성비위 사건이 발생해 논란이다. 남성 국회의원 수가 여성보다 많고 남성중심주의적인 국회·정당 문화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11일 조국혁신당(이하 혁신당) 신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이 추대됐다. 조 신임 비대위원장은 이날 입장문으로 “제가 많이 모자랐다”며 “강미정 전 대변인의 탈당이 너무나 아프다. 당이 돌아오고 싶은 공동체가 되도록 할 수 있는 노력을 끝까지 다하겠다”고 밝혔다.
강미정 혁신당 전 대변인이 지난 4일 당내 성비위와 괴롭힘, 2차 가해 미조치 등을 지적하며 전격적으로 탈당했다. 당시 그는 “당은 피해자들의 절규를 외면했다”며 “윤리위와 인사위는 가해자와 가까운 인물들로 채워져 있었다. 외부 조사기구 설치 요구는 한 달이 넘도록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혁신당이 당직자의 성추행과 2차 가해, 은폐 등으로 홍역을 치르는 가운데, 앞서 진보당에서도 유사한 성비위 사건이 발생해 논란이 됐다.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이하 한여넷)은 지난 7월 “진보당 정치인이 자신의 일상생활을 돕는 일명 '생활비서'라는 해괴망측한 역할을 만들었다”며 “여성 당원의 노동력을 착취하고 성범죄를 서슴지 않았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한여넷은 “진보당은 이와 같은 사실을 인지하고도 당에 미칠 파장을 우려, 성범죄 사건을 은폐하기 위해 피해자를 압박하고 있다”며 “더욱이 진보당 여성 당직자들이 피해자를 향해 2차 가해를 자행하고 있다. ‘꽃뱀’ 프레임을 붙였다는 것이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현재 진보당 측은 “진보당 내에 ‘생활비서’라는 직책은 없다”며 “당연히 이를 전제로 하는 수많은 의혹과 문제 제기는 아무런 근거가 없으며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선 평소 인권과 성평등을 강조한 혁신당과 진보당 진보계열 두 정당에서 오히려 상급자가 하급자를 대상으로 한 권력형 성비위 사건이 반복되자, 다른 정당에 비해 시민이 받는 충격이 더 크다는 시각이 많다.
아울러 성비위 피해자가 문제를 제기하자 보복성 2차 가해와 은폐가 이뤄진 점도 유사해, 두 정당의 핵심세력인 ‘운동권’의 권위적인 문화 때문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정치평론가 A씨는 “우리 국회엔 남성 정치인의 수가 여성보다 훨씬 많다”며 “여기에 국회의원의 권한이 다른 어느 나라보다 더 세다. 가부장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문화가 국회와 정당 조직에 있는 한 성비위 사건은 끊이지 않을 것이다”고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