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 스타라이트’ 개발사인 정성환 게임테일즈 대표는 지난 10일 서울 서초구 포털PC방서 열린 미디어 프리뷰 행사에 참석해 이처럼 말했다.
더 스타라이트는 컴투스가 처음으로 퍼블리싱(유통‧운영)을 맡은 MMORPG 대작이다. 오는 18일 국내 출시를 앞두고 있다.
정 대표가 직접 집필한 소설 '사일런트 테일', '황금의 나르시소스', ‘색마전설’, ‘홀리나이트’ 등 4편을 기반으로 한다. 이 중 황금의 나르시소스 속 ‘마이어소티스’라는 대륙에 혼돈(카오스) 해결을 위해 서로 다른 시공간 영웅들이 소환된 후 내용이 전개된다.
정준호 게임테일즈 예술 감독은 “최근 미디어 흐름을 보면 과거의 것을 잘 다듬어내면 굉장히 긍정적인 향수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며 “젊은 층에겐 ‘더 색다르게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감이 있다”고 말했다.
개발진이 가장 집중한 요소는 다중 세계관의 완성도 높은 표현이다. 정 대표는 “(소설 4편 모두) 세계관이 다르다 보니, 하나의 원작을 적극 활용하자고 했다”며 “황금의 나르시소스를 구심점으로 장르가 각자 다른 소설 속 캐릭터들을 추가해 자연스러운 내용 전개 흐름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검토 작업을 거쳤다”고 말했다.
성장 중심인 MMORPG 장르 특성상 줄거리 중요도가 떨어진단 의견에 대해선 정 대표는 “블리자드 ‘와우’처럼 내용을 잘 만들고 그걸 잘 전달하는 과제(퀘스트)를 가진 MMORPG들이 분명히 있다”며 “핵심은 이용자를 납득시킬 만한 2인칭 화법인데, 충분한 개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엄청난 공을 들였다”고 답했다.
작품 차별화를 위해 다른 게임을 따라가는 이른바 ‘라이크(파생)’ 요소는 최대한 배제했다. 정 대표는 “라이크 장르에 집착하기보다 자체 구축한 ‘필드 플레이(게임 진행 공간)’에 대한 방향을 명확히 하는 게 주요 목적이었다”며 “대표적인 예론 공성전을 벌일 때 ‘충돌’이 적용되는데, 일반 퀘스트 진행 시에는 ‘충돌’이 없는 걸 꼽을 수 있다”고 말했다.
사업 모델(BM)은 기존 MMORPG 문법을 따라간다. 한 부문장은 “아바타와 정령, 탈 것, 무기 소울까지 네 종류의 확률형 아이템을 준비하고 있다”며 “그럼에도 고과금 이용자와 중소 무과금 이용자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해 별도 ‘신화 등급’ 없이 출시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이어 “최근 MMORPG 추세를 보면 신화 등급이 많이 포함돼 있는데 (더 스타라이트는) 전설 등급으로도 충분히 게임을 즐길 수 있게 체계를 완화했다”고 덧붙였다.
컴투스가 퍼블리싱을 맡은 것에 대해선 한 부문장은 “컴투스는 업력이 오래된 모바일 게임사이자 해외 매출 비중이 70%일 만큼 해외서 강세를 보이는 회사”라며 “최근 몇 년간 자체 개발 외에도 퍼블리싱을 확장해 왔는데, (더 스타라이트를 기점으로) MMORPG 장르에 대한 서비스‧퍼블리싱 두 가지 다 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