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철강 산업의 위기 대응과 미래 청사진 마련을 위해 정부가 현장 점검에 나섰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9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된 포항을 찾아 미래경쟁력과 산업 안전의 핵심인 포스코 인공지능(AI) 고로와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를 점검했다. 이어 철강업계 대표들과 간담회를 열어 업계 애로를 청취하며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현장 방문은 철강산업 근로자의 안전사고가 반복되는 가운데 AI를 통한 근로자 안전과 생산 공정 관리를 강화하고, 글로벌 공급과잉과 수입재 침투 등 업계의 어려움 속에서 특수탄소강과 같은 철강 산업의 미래 경쟁력 확보를 적극 지원하겠다는 정부 의지를 담았다.
김 장관은 포항제철소 2고로와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를 둘러보며 AI 기반 스마트 제철공정, 근로자 안전관리 체계 등을 살펴봤다. 특히 세계 최초로 추진 중인 '한국형 수소환원제철'은 철강산업의 그린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기술로 2026년부터 2030년까지 8100억원 규모의 실증사업이 본격 추진될 예정이다.
김 장관은 현장 시찰에서 "철강산업의 AI 접목을 통한 효율성과 산업안전 강화를 지원하고, 저탄소 철강재 및 특수탄소강에 대한 인센티브 등 저탄소·고부가 전환을 지속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근로자 안전이 산업 경쟁력의 출발점"이라며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기업 관리 강화와 투자 확대"를 당부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제강, 넥스틸, TCC스틸 등 주요 철강사 대표와 한국철강협회 상근부회장이 참석했다.
김 장관은 "대미 관세 협상에서 철강 관세 면제를 강하게 요구했지만 관철이 어려웠던 점에 대한 업계의 이해를 부탁드린다"며 "앞으로 미국측과 관세 완화 협의를 지속하고 관세 후속 지원대책 이행, 우회덤핑 등 불공정 수입재 방어도 적극 추진해나겠다"고 밝혔다.
특히 김 장관은 "철강기업, 금융권, 정책금융기관이 함께 참여해 약 4000억원 지원 효과를 낼 수 있는 '철강 수출공급망강화 보증상품'을 신설하겠다"고 전했다.
또 "국내외 공급과잉 문제에 대해서는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며 품목별 대응 방향을 검토해 나가고 철강산업 위기로 촉발된 지역경제 어려움을 해소하며 국회에서 발의된 철강산업특별법에 대해서도 핵심 정책과제들이 입법화될 수 있도록 국회와 협의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간담회에서 한국철강협회는 글로벌 공급과잉 대응과 저탄소·고부가 전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업계 노력에 대해 발표했으며 참석 기업들도 안전관리 강화에 대한 의지 표명과 함께,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한편, 산업부는 지난 1월 출범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태스크포스(TF)' 등을 통해 전문가·업계와 정책 과제를 논의해왔으며 향후 관계부처 협의와 TF 논의 결과를 종합해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향후 발표할 계획이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9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된 포항을 찾아 미래경쟁력과 산업 안전의 핵심인 포스코 인공지능(AI) 고로와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를 점검했다. 이어 철강업계 대표들과 간담회를 열어 업계 애로를 청취하며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현장 방문은 철강산업 근로자의 안전사고가 반복되는 가운데 AI를 통한 근로자 안전과 생산 공정 관리를 강화하고, 글로벌 공급과잉과 수입재 침투 등 업계의 어려움 속에서 특수탄소강과 같은 철강 산업의 미래 경쟁력 확보를 적극 지원하겠다는 정부 의지를 담았다.
김 장관은 포항제철소 2고로와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를 둘러보며 AI 기반 스마트 제철공정, 근로자 안전관리 체계 등을 살펴봤다. 특히 세계 최초로 추진 중인 '한국형 수소환원제철'은 철강산업의 그린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기술로 2026년부터 2030년까지 8100억원 규모의 실증사업이 본격 추진될 예정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제강, 넥스틸, TCC스틸 등 주요 철강사 대표와 한국철강협회 상근부회장이 참석했다.
김 장관은 "대미 관세 협상에서 철강 관세 면제를 강하게 요구했지만 관철이 어려웠던 점에 대한 업계의 이해를 부탁드린다"며 "앞으로 미국측과 관세 완화 협의를 지속하고 관세 후속 지원대책 이행, 우회덤핑 등 불공정 수입재 방어도 적극 추진해나겠다"고 밝혔다.
특히 김 장관은 "철강기업, 금융권, 정책금융기관이 함께 참여해 약 4000억원 지원 효과를 낼 수 있는 '철강 수출공급망강화 보증상품'을 신설하겠다"고 전했다.
또 "국내외 공급과잉 문제에 대해서는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며 품목별 대응 방향을 검토해 나가고 철강산업 위기로 촉발된 지역경제 어려움을 해소하며 국회에서 발의된 철강산업특별법에 대해서도 핵심 정책과제들이 입법화될 수 있도록 국회와 협의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간담회에서 한국철강협회는 글로벌 공급과잉 대응과 저탄소·고부가 전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업계 노력에 대해 발표했으며 참석 기업들도 안전관리 강화에 대한 의지 표명과 함께,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한편, 산업부는 지난 1월 출범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태스크포스(TF)' 등을 통해 전문가·업계와 정책 과제를 논의해왔으며 향후 관계부처 협의와 TF 논의 결과를 종합해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향후 발표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