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 의원은 지난 19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운정신도시 수돗물 사고 세 번째 사고는 없어야 합니다'란 제목으로 "수돗물 사고 한 번이 아니다. 지난 2021년에 이어, 2025년. 같은 관로, 같은 지역, 그리고 같은 유형의 사고가 또 발생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고 의원은 글에서 "이번에도 운정의 수돗물에서 이물질이 나왔다. 사고는 9월 5일 금요일에 발생했다"며 "주말과 관계기관 일정 조율을 거쳐 지난 10일 현장을 찾았다. 그리고 오늘(9월 19일), 경기도의회에서 공식 논의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고 의원은 "경기도 상하수과, 파주시 상수도과, 보건환경연구원, 수자원공사까지 수돗물 문제를 책임져야 할 모든 주체가 모였다. 반복된 사고, 구조적 경고이다"며 "사고의 직접적 원인은 본관(D700mm) 관말부에 장기간 쌓인 침전물 유출." 하지만 진짜 문제는, 이 구조적 특성을 알고도 주기적 세척과 점검을 게을리한 행정 시스템이다"라고 진단했다.
고 의원은 "그래서 경기도 광주시 사례를 제시했다. 해당 지역에서는 사고 발생 직후 집집마다 채수병을 문에 걸어두고, 주기적으로 수질을 검사해 주민들이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며 "파주도 이 정도 실천력이 필요하다. 일상이 무너진 주민에게는 기술보다 눈앞에서 확인할 수 있는 신뢰가 먼저다. 단순한 기술적 조치로는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파주시와 수자원공사는 절단·준설·고압세척, 자동드레인 설치, 수질센서 도입 등을 약속했다. 계획된 대책에만 머물러선 안된다"며 "그래서 요구했다. 관말부 정기 청소·점검 메뉴얼 경기도 차원 마련 도 전역 대상 유사 사고 방지 가이드라인 구축 주민 신뢰를 위한 투명한 정보공개 시스템 정비 찾아가는 수질검사 보다 더 나은 방법인 채수병 수질검사서비스에 대해 파주시에 요청. 이번 사태를 마지막 경고로 삼겠다"고 다짐했다.
고 의원은 "사고를 외면하지 않는 행정과 정치, 도민의 일상까지 책임지는 의회, '고준호의 이웃들 삶에 힘이되는 정치'는 계속된다"고 적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