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통일은 결단코 불필요하다'고 밝힌 데 대해 "긴 안목을 갖고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을 통해 남북 간 적대성 해소와 평화적 관계 발전을 추진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22일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북측 체제를 존중하고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것도 없음을 재확인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아울러 "북·미대화 지원 등 평화 정착을 위한 노력도 경주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오전 김 위원장이 전날 평양 만수대의사당에서 열린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3차 회의에서 한 연설 내용을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이번 연설에서 '적대적 두 국가론'을 내세우며 남한과 협상이나 통일 가능성을 전면 부정했다.
그는 "우리는 정치, 국방을 외세에 맡긴 나라와 통일할 생각이 전혀 없다"며 남한을 "모든 분야가 미국화된 반신불수의 기형체, 식민지 속국이며 철저히 이질화된 타국"이라고 비난했다. 특히 "결단코 통일은 불필요하다"며 "어느 하나가 없어지지 않으면 안 될 통일을 우리가 왜 하겠느냐"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1월 최고인민회의에서 한국을 '제1의 적대국', '불변의 주적'으로 교육한다는 내용의 헌법 개정을 지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번 연설에서는 "우리와 한국이 국경을 사이에 둔 이질적이며 결코 하나가 될 수 없는 두 개 국가임을 국법으로 고착시킬 것"이라는 언급만 있었을 뿐, 개정이 실제로 이뤄졌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구 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북한이 지금 헌법 개정을 통해서 두 국가를 확정하는지에 대해서 북한이 스스로 확인한 바가 없다"며 "현재로서 예단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