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에서 자원으로"… 서울시, 국제사회와 음식폐기물 해법 모색

  • 23일 '국제기후환경포럼' 개최

  • 서울시, 선도적 노력·성과 공유

2025 서울국제기후환경포럼 홍보물 사진서울시
2025 서울국제기후환경포럼 홍보물 [사진=서울시]

전 세계적으로 음식물쓰레기 감축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글로벌 도시 간 전략과 경험을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서울시는 23일 오후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음식폐기물에 대한 실천적 대응, 지속 가능한 도시 만들기’를 주제로 서울 국제기후환경포럼을 열었다.

시는 음식물쓰레기 감축을 위한 선도적 정책을 소개했다. 실제 시는 1998년 분리배출을 시작으로 2013년 음식물 종량제, 2018년에는 RFID 기반 종량제를 전 자치구로 확대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해 시민들과 함께 꾸준히 음식물 쓰레기 감소에 노력을 기울인 결과 10년 만에 약 25%의 감축 성과를 냈고 음식쓰레기 폐수 등을 바이오가스 등으로 재활용해 자원화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기조연설에 나선 산드로 데마이오 WHO-ACE(아태환경보건센터)  센터장은 ‘지속가능한 식품 시스템’을 주제로 친환경 급식과 음식물쓰레기 저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이날 토크콘서트 진행을 맡은 과학커뮤니케이터 궤도가 ‘음식물 쓰레기, 과학으로 풀다’를 주제로 강연했다.

패널 세션에서는 무랄리 람 C40 동아시아지역 국장이 좌장을 맡아 서울·오클랜드·멜버른·방콕의 사례를 공유했다. 이어 이클레이(ICLEI) 회원 도시들이 각국의 정책을 발표했다. 포럼에 앞서 열린 ‘고등학교 잔반제로 대항전’의 우수 학교에 대한 시상도 진행됐다.

시는 이번 포럼을 계기로 음식물쓰레기 감축과 지속가능한 식문화 확산을 위한 국제 협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