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관리자 3명 중 1명이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사혁신처는 30일 양성평등·이공계·장애인·지역인재 등 분야별 2024년 통계를 담은 ‘2025 공공부문 균형인사 연차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앙부처 고위공무원과 본부 과장급, 지자체 5급 이상에 해당하는 여성 공무원은 1만85명으로 전체 중 33.4%를 차지했다.
중앙부처 여성 고위공무원은 지난해 201명으로 전년 대비 18명 늘었고 비율은 12.9%로 전년보다 1.2%포인트 상승했다. 정부부처 여성 고위공무원은 2006년 38명에서 2018년 102명으로 처음 100명을 넘어선 뒤 6년 만인 두 배로 늘었다.
중앙부처 본부 과장급 여성공무원 비율은 지난해 30.8%로 처음 30%대에 진입했다. 본부 과장급 과반이 여성인 기관도 전년 5곳에서 6곳으로 늘었다.
반면 지난해 공공기관은 기관장, 이사, 감사 등 여성 임원 비율이 20.4%로 전년보다 1.1%포인트 하락했다. 다만 부장, 팀장 등 여성 관리자 비율은 32.3%로 전년 대비 1.9%포인트 늘었다.
이공계 출신 공무원 비율도 소폭 확대됐다. 중앙부처 고위공무원 가운데 이공계 비율은 27.2%, 4급 이상은 37.0%로 전년 대비 각각 1.3%포인트, 0.9%포인트 증가했다. 장애인 고용률은 중앙부처 3.53%, 지자체 3.68%로 각각 0.01%포인트, 0.02%포인트 하락했으나 공공기관은 4.05%로 0.15%포인트 상승했다.
유승주 인사혁신국장은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공직 내 인적 다양성 확보는 필수적”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인재가 차별 없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포용적인 공직문화를 만들도록 균형인사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