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EU도 "임신 중 타이레놀-자폐증 연관성 없다"…트럼프 주장 반박

  • WHO "건성으로 결론 내리는 것 주의해야"

  • MHRA "통증과 발열이 오히려 태아에 위험"

타이레놀 사진AFP연합뉴스
타이레놀 [사진=AFP·연합뉴스]
세계보건기구(WHO)와 유럽연합(EU)이 임신부가 해열·진통제 타이레놀을 복용하면 자폐아 출산 위험이 높아진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주장에 대해 “과학적 근거가 없다”며 일제히 반박했다.

2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타릭 야사레비치 WHO 대변인은 언론 브리핑에서 “임신 중 파라세타몰 사용과 자폐증 사이의 연관성에 관한 증거는 여전히 일관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타이레놀의 원료인 아세트아미노펜은 유럽에서는 파라세타몰로 불린다.

야사레비치 대변인은 타이레놀 복용과 자폐증 간 연관 가능성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를 언급했으나 해당 연구 결과가 후속 연구에서 확인되지 않았다며 같은 조건에서 같은 결론을 얻는 재현 가능성이 부족한 상황에서 건성으로 결론을 내리는 데 주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백신이 자폐증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은 이미 확인된 사실로, 수많은 생명을 구해왔다”며 “이는 과학적으로 입증된 만큼 결코 의심받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유럽의약품청(EMA)도 성명도 통해 “파라세타몰은 임신 여성의 통증이나 발열을 치료하는 데 중요한 선택지로 남아 있다”며 “임신 중 파라세타몰을 복용하는 것이 아이들에게 자폐증을 유발한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EMA는 임신 중 파라세타몰을 최소 유효 용량과 빈도로 필요시 복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영국 의약품·건강관리제품규제청(MHRA)도 같은 입장을 보였다. 앨리슨 케이브 MHRA 최고 안전 책임자는 가디언에 임신부들은 기존 지침에 따라 진통제로 파라세타몰을 계속 복용할 수 있다며 “치료받지 않은 통증과 발열이 오히려 태아에 위험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왕립 약학회 회장인 클레어 앤더슨 교수도 “파라세타몰은 수십 년 동안 수백만 명이 안전하게 사용해온 약으로, 임신 중에도 지침에 따라 복용하면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임신 중 타이레놀 복용이 자폐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식품의약국(FDA)을 통해 의사들에게 통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타이레놀 복용과 자폐아 출산 간 연관성을 입증할 뚜렷한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반론이 이어졌으며 미 산부인과학회도 타이레놀은 임신부에게 안전하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