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울산포럼 성료...최창원 의장 "AI는 제조업 위기 속 구세주"

  • 울산 제조AI 허브 구축 전략 논의

  • 동남권 지역문화 연대 방안 모색도

  • 온∙오프라인 1900여명 참여해 성황

지난 24일 울산시 울주군 울산전시컨벤션센터UECO에서 열린 ‘2025 울산포럼’에서 최창원오른쪽 8번째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과 이윤철오른쪽 7번째 울산상공회의소 회장 등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지난 24일 울산시 울주군 울산전시컨벤션센터(UECO)에서 열린 '2025 울산포럼'에서 최창원(오른쪽 8번째)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과 이윤철(오른쪽 7번째) 울산상공회의소 회장 등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SK이노베이션]
"최근 기업과 지역사회는 지역소멸, 기후변화, 지경학적 요인들로 인해 지속가능성이 흔들리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의 제조업도 경쟁력을 잃을 수 있는데 AI가 구세주같이 나타났다고 생각한다."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은 지난 24일 울산시 울주군 울산전시컨벤션센터(UECO)에서 '커넥팅 울산: 기술과 문화로 잇다'를 주제로 열린 '2025 울산포럼'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울산포럼을 처음 찾은 최 의장은 "오늘 포럼에서 논의된 것처럼 기업의 품질, 원가, 안전관리, 의사결정의 생산성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한 뒤 "우리는 AI 기술을 통해 사업 경쟁력을 다시 회복할 기회가 생겨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역포럼 역시 매력적인 요인이 있어야 하고 거대담론으로만 끝나서는 안된다"며 "이번 울산포럼은 현재의 문제를 잘 드러내고 해법이 구체적으로 논의됐는데, 앞으로도 소프트웨어, 콘텐츠 측면에서 현실적으로 접근할 때 울산포럼이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K와 울산상공회의소가 공동주최한 이날 포럼은 울산 중심의 제조AI 허브 및 동남권 문화권역 구축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 울산포럼은 △제조AI 허브 울산 △지역문화 네트워크 구축 등 2개 핵심 세션을 중심으로 열렸다.

포럼에는 최창원 의장을 비롯해 △김종화 SK에너지 사장 등 SK 최고경영진 △김두겸 울산광역시장 △공진혁 울산광역시의회 의회운영위원장 △이윤철 울산상공회의소 회장 △오연천 울산대학교 총장 등이 참여했다. 이외에도 SK 구성원과 지역 기업인, 소상공인, 시민 등 1900여명이 온∙오프라인을 통해 행사에 함께했다.

첫번째 '제조AI 허브 울산' 세션에서는 울산 중심의 미래 제조AI 사업을 탐색하는 한편 혁신을 위한 메가 샌드박스 구현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이세돌 UNIST 특임교수는 'AI시대, 혁신과 협력의 필요성' 주제의 기조연설에서 AI 시대의 가능성과 사회 각 분야에서의 영역을 초월한 협력 및 혁신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유대승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장과 지역기업 담당자들은 대기업과 협업중인 제조AI 전문기업 사례를 통해 울산 제조AI의 미래 모델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어 SK텔레콤, 현대자동차,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UNIST, 울산광역시 관계자가 참여해 '울산 제조AI' 구축을 위한 메가 샌드박스 방안 관련 패널토의를 벌여 관심을 모았다.

이어진 '지역문화 네트워크' 세션에서는 한국 동남지역의 개성을 살린 다양한 문화 아이템들을 발굴하고, 울산 뿐만 아니라 경주와 포항을 포함한 해오름동맹의 연대 및 연결을 통한 문화도시 구축 시너지 창출 방안을 모색했다.

박웅현 TBWA 코리아 조직문화연구소 소장은 울산의 일상과 도시 경관 속에서 발견되는 인문학 관점의 가치와 지역 문화의 잠재력을 강조했다. 또 일본 나오시마, 이탈리아 레체 등 도시가 문화관광 중심지로 탈바꿈한 사례 고찰을 통해 울산의 문화도시 변화 가능성을 타진했다.

정부와 기업, 학계 관계자들이 참여한 패널토의에서는 △글로벌 수준의 랜드마크 아이템 개발 △지역별 개성을 살린 문화 콘텐츠 발굴 △동남권 독자 문화권역 조성을 위한 통합 브랜딩과 교통 인프라 개선 등의 내용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한편, 울산포럼은 지난 2022년 SK이노베이션 창립 60주년을 맞아 울산의 미래를 함께 고민하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 제안으로 시작됐다. 그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가치 실현 △제조AI 허브와 문화도시 구현 등을 주제로 개최돼 울산 지역사회의 변화와 발전을 이끄는 대표 플랫폼으로 자리잡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