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6일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반도체 기업의 미국 내 칩 생산량과 수입량이 1 대 1 등치 교환을 하기 원한다”며 “이를 맞추지 못한 기업은 품목 관세를 내야 할 것이다”고 보도했다.
이는 미국에 투자한 반도체 기업에 품목 관세 100% 면제가 아니라 ‘자국 생산량’과 같은 수준의 수입 반도체에만 면세해 준다는 의미다. 현재 짓고 있는 반도체 공장의 생산량도 관세 면제분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WSJ은 “미국 본토 반도체 생산량을 증가시켜 경제 안보를 강화하려는 게 정책의 기본 목표다”며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최근 주요 반도체 기업 경영진과 관세 관련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또 이번 관세 정책으로 반도체가 들어간 스마트폰과 PC 등을 해외 공장에서 만들어 미국으로 수입하는 애플 등 정보기술(IT) 기업의 부담이 커질 것이란 전망도 제기된다. 반도체 품목 관세는 반도체가 장착된 완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이 내는 게 원칙이다.
반면 SK하이닉스 등 미국 투자 규모가 작거나 계획이 없는 기업의 부담은 커질 전망이다. 애플 등 고객사로부터 미국 내 반도체 생산량을 늘리라는 압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