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롯데카드에서 297만명 개인정보가 유출된 데 이어 간편결제 플랫폼 비플페이에서도 고객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카드사에 이어 핀테크 서비스까지 보안 사고가 이어지면서 금융 인프라 전반의 보안 체계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28일 비플페이에 따르면 지난 24일 권한 없는 외부 제3자가 이용자 개인정보를 조회한 사실이 확인됐다. 이 과정에서 선불상품권 PIN번호와 이름·휴대전화번호 등 일부 개인정보가 유출돼 고객 3000여 명이 피해를 입었다. 피해 금액은 9700만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회사는 전액 보상 조치와 함께 시스템 네트워크 분리 등 긴급 대응을 시행했다고 밝혔다. 현재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조사를 진행 중이다.
비플페이는 전국 가맹점에서 식권·복지 결제, 지역사랑상품권, 유통 브랜드 선불권 결제 등을 지원하는 간편결제 플랫폼이다.
피해 규모는 대형 금융사 사고보다 작지만 파장은 크다. 간편결제는 소액 거래 중심으로 이용률이 높고 지역상품권처럼 공공 서비스와도 연계돼 있어 사고 발생 시 금융권을 넘어 공공 신뢰까지 흔들 수 있다. 다만 회사 측은 이번 사고가 지역상품권 거래와는 무관하다고 설명했다.
간편결제·핀테크 사업자도 금융당국의 감독 대상이지만 은행·카드사에 비해 검사 강도와 빈도가 낮아 사실상 자체 관리 비중이 크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최근 웰컴금융그룹 계열 대부업체에서도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했는데 대부업체는 금융당국의 직접적인 개인정보보호 감독을 받지 않아 현장조사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전해진다.
금융권 관계자는 "결제 시장은 카드사·은행을 넘어 핀테크와 지역상품권 플랫폼으로 확장됐지만 보안 관리 잣대는 과거에 머물러 있다"며 "플랫폼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규제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