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시대, 기업은 어떤 경영 전략을 선보여야 할까

  • 여현덕 교수의 신간...'AI 경영: 소년병과 아인슈타인'

아주경제 DB
[이미지=아주경제 DB]


한국과학기술원(KAIST) 지스쿨(G-School) 원장이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인공지능 경영자과정 주임교수인 여현덕 교수가 신간 'AI경영: 소년병과 아인슈타인'을 출간했다.

'AI경영: 소년병과 아인슈타인'은 AI 기술의 다층적 변화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AI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과 조직, 기업이 마주한 새로운 기회를 탐구하는 책이다. 저자는 지뢰밭을 해체하는 소년병 사례와 아인슈타인의 직관에서 이야기를 풀어내며 AI와 인간이 어떻게 협업 지능(Collaborative Intelligence)을 만들어갈 수 있을지를 보여준다. 또 급변화는 경영 환경에서 리더에게 필요한 통찰력과 AI·인간·조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특히 이 책에서는 반복적이고 수동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소년병'과 창의적 사고와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문제를 해결하는 '아인슈타인'을 대비한다. 소년병은 AI 시대의 단순 반복 업무를 수행하는 역할로, 아인슈타인은 AI를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존재다. 저자는 이 두 유형의 조화와 전환이 AI 시대의 필수적임을 강조한다.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프로메테우스는 신들로부터 불을 훔쳐 인간에게 전해주고 그 대가로 끔찍한 형벌을 받았다. 오늘날 생성형 AI의 급속한 발전은 인류에게 새로운 '불'과 같은 강력한 도구다. 희망과 우려가 교차하는 AI 시대, 결국 '인간의 존엄을 중심에 둔 기술'과 같은 철학적 토대 위에서만 진정한 혁신이 이뤄짐을 저자는 거듭 강조한다. 미래의 AI란 '대체제'가 아닌 '강화제', 경쟁 대상이 아닌 협업의 파트너로 이해해야 한다는 시각과, AI가 바꿔놓을 비즈니스의 지형 속에서도 전략의 중심에는 언제나 '사람'이 있다는 경영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 또한 매력이다.


한편, 이 책의 저자인 여 교수는 카이스트 지스쿨 원장으로 재직 중으로 인공지능 경영과정(AIB)을 설립하고 AI 스토리텔링 학습법을 설계했다. 영국 애버딘대학교 교수, 미국 조지메이슨대 석좌교수, 다보스포럼 수석자문역을 거쳤고 현재 뉴욕대(NYU)-KAIST 혁신캠퍼스 석좌교수를 겸하고 있다. 저서로는 'AI 싱킹과 협업 지성', 'AI 채용과 해고', '스토리텔링과 감성 A' 등이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