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은, 핵물질ㆍ핵무기생산 관련 중요협의회 지도 [사진=조선중앙TV화면,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한국 영토가 결코 안전한 곳이 될 수 있겠는가 하는 것은 그들 스스로가 판단할 몫"이라며 노골적인 대남 위협 발언을 쏟아냈다. 한미 군사협력 강화에 반발하며 긴장 수위를 끌어올리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조선중앙통신은 5일 북한이 방위산업 박람회 형식의 무장장비전시회 '국방발전-2025'를 4일 평양에서 개막했다고 전했다. 행사 개막 연설에 나선 김 위원장은 "적들은 자기의 안보환경이 어느 방향으로 접근해 가고 있는가를 마땅히 고민해야 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미한 핵동맹의 급진적인 진화와 이른바 핵작전 지침에 따르는 위험천만한 각본들을 현실에 구현하고 숙달하기 위한 각종 훈련들이 감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도 미국은 한국과 주변 지역에 자기들의 군사적 자산을 확대하기 위한 무력증강조치들을 취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우리는 조선반도와 주변 지역에 대한 미국의 전략적 타격 수단들과 정찰 수단들의 전개와 그를 동원한 군사적 적대 행위들을 국가안전에 대한 새로운 위협 발생 가능성과의 연관 속에서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그리고 분명한 조치들도 취했다"며 "한국 지역의 미군 무력 증강과 정비례해 이 지역에 대한 우리의 전략적 관심도도 높아졌으며, 따라서 우리는 특수자산을 그에 상응하게 중요 관심 표적들에 할당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 지역국가들의 안전상 우려를 노골적으로 무시하면서 위험한 무력 증강 행위를 계속 강행한다면 이러한 사태발전은 우리를 새로운 위협들을 제거하고 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해당한 군사 기술적 조치 실행에로 더욱 떠밀게 될 것"이라고 위협했다.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의 이번 연설이 단순한 경고를 넘어 한미동맹을 직접 겨냥한 실질적 대남 압박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임을출 교수는 "'한국 영토'라는 표현은 미군 기지나 주요 군사시설을 타격 대상으로 거론한 것"이라며 "이재명 정부에 대해 미국의 군사 전략에 동참하지 말라는 강력한 압박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 위원장은 이번 행사에서 "전시회 마당에는 핵 억제력을 근간으로 하는 조선의 군사력 구조를 부단히 현대화, 고도화해온 중대사업의 최근 결실들이 집결돼 있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행사장에는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KN-23에 극초음속 탄두를 탑재한 것으로 추정되는 화성-11마를 비롯해 초음속 순항미사일, 대잠 미사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과 화성-19형 등 최신 무기들이 공개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2023년부터 '국방발전'이라는 이름으로 무장장비전시회를 매년 개최하고 있다. 그 이전인 2021년에는 '자위-2021'이라는 명칭으로 '국방발전전람회'를 열어 핵·미사일 개발 성과를 대대적으로 공개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