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노벨물리학상에 '양자역학의 새로운 가능성 입증' 클라크 등 3인

  • 존 클라크, 미셸 드보레, 존 마티니스 교수

  • 양자컴퓨터 등 차세대 양자기술 발전의 새로운 가능성

왼쪽부터 존 클라크 캘리포니아 대학 교수 미셸 드보레 예일대 및 캘리포니아 대학 교수 존 마티니스 캘리포니아 대학 교수 사진노벨상 홈페이지
(왼쪽부터) 존 클라크 캘리포니아 대학 교수, 미셸 드보레 예일대 및 캘리포니아 대학 교수, 존 마티니스 캘리포니아 대학 교수 [사진=노벨상 홈페이지]


2025년 노벨물리학상은 '거시적 규모에서 양자역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입증한 공로'로 존 클라크, 미셸 드보레, 존 마티니스 등 3명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7일(현지시간) "이들이 전기 회로에서 거시적 양자역학적 터널링과 에너지 양자화를 발견·규명한 공로를 인정해 노벨 물리학상을 수여한다"고 발표했다. 노벨상 시상식은 오는 12월 10일 열린다. 

클라크는 1942년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나 케임브리지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현재 캘리포니아대 버클리 캠퍼스 교수로 재직 중이다. 드보레는 1953년 프랑스 파리 출신으로 파리-수드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예일대와 캘리포니아대 샌타바버라 캠퍼스에서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마티니스는 1958년 미국에서 태어나 캘리포니아대 버클리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샌타바버라 캠퍼스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번 수상자 3명 모두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들의 실험은 칩 위에서 양자물리학이 실제로 작동하는 모습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된다. 물리학의 오래된 핵심 질문 중 하나는 '양자역학적 효과를 보여줄 수 있는 시스템의 최대 크기는 어디까지인가'라는 것이다. 이번 수상자들은 손에 들 수 있을 정도로 큰 전기 회로에서 양자역학적 터널링과 에너지 준위(quantised energy levels)를 모두 입증함으로써, 미시 세계를 넘어 거시적 규모에서도 양자역학이 작동함을 증명했다.


올레 에릭손 노벨위원회 위원장은 "100년이 된 양자역학이 여전히 새로운 놀라움을 선사한다는 점을 축하할 수 있어 기쁘다"며 "양자역학은 모든 디지털 기술의 토대이기도 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컴퓨터 마이크로칩의 트랜지스터처럼 이미 널리 활용되고 있는 기존 양자 기술을 넘어 양자컴퓨터·양자암호·양자센서 등 차세대 양자기술 발전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고 노벨위원회는 평가했다.

수상자들은 상금 11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6억4000만원)를 3분의 1씩 나눠 받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서 물리학은 가장 먼저 언급된 분야로, 이는 당시 물리학이 지녔던 학문적 위상을 반영한다. 오늘날에도 노벨 물리학상은 해당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으로 꼽힌다.

한편 노벨위원회는 전날 생리의학상 수상자를 시작으로 이날 물리학상 수상자를 발표했으며, 올해 노벨상 수상자 발표는 △8일 화학상 △9일 문학상 △10일 평화상 △13일 경제학상 순으로 이어진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