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부총리 "엔비디아 GPU 대체 위한 국내 칩 개발 중"

  • 국정감사서 딥페이크 영상 시연에 대해선 '유감'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여야 위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여야 위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장관이 엔비디아·AMD 등 해외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대체하기 위한 국산 칩 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배 부총리는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과기정통부 국정감사에서 "전 세계적으로 AI 학습에 엔비디아의 GPU를 사용하는 것은 보편적인 현실"이라면서도 "이를 대체하기 위한 국내 자체 추론 칩 개발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은 "이재명 정부의 핵심 공약인 '모두의 AI 프로젝트', 국내 독자AI 모델을 개발하겠다는 정책이 엔비디아의 GPU 의존도를 높이고 엔비디아의 매출만 늘려주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배 총리는 "모두의 AI 핵심은 특정 기술이 아닌 정보 소외 계층까지 포함한 모든 국민이 AI 혜택을 누리는 'AI 기본 사회를 만드는 데 방점이 있다"고 이야기했다. 

그러면서 "해외 빅테크 기술을 활용할 수 있지만 국내 산업 생태계 발전과 기술 혁신을 위해서는 자체 AI 파운데이션 모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국산 추론용 AI 반도체 개발을 추진했다. 부총리급 승격에 'AI실'도 신설하고 산하에 AI정책기획관·AI인프라정책관을 둬 AI 정책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했다고 섦여했다. 

배 부총리는 "안전과 신뢰를 지켜내지 못한다면 AI 산업 진흥도 물거품"이라며 "AI 역기능 방지를 위해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배 부총리는 이날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이 딥페이크 영상을 시연하는 것에 우려와 유감을 표명했다. 배 부총리는 "국민들이 지켜보는 국정감사에서 딥페이크 영상이 송출되면, 이것이 마치 사실인것처럼 오해돼 온라인에 확산될 수 있다"며 "영상이 딥페이크라는 명확한 자막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