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현지 범죄단지에서 일했거나 피해자들과 접촉한 이들은 “손톱을 뽑거나 손가락을 자르는 고문이 일상적으로 벌어진다”며 “돈을 받고 다른 단지로 팔아넘기거나 더 이상 쓸모가 없다고 판단되면 장기매매로 이어지기도 한다”고 증언했다.
단지 내부에서는 로맨스 스캠·비상장주식·보이스피싱 등 각종 범죄가 조직적으로 이뤄진다. 한 관계자는 “캄보디아 내에만 약 400곳의 범죄단지가 존재한다”고 추산했다.
피해자 A씨는 “한국인이 필요한 이유는 통장 세탁이나 한국인 대상 사기 TM·CS업무 때문”이라며 “포이펫·바벳은 캄보디아에서도 가장 위험한 국경 지역으로, 마지막으로 보내지는 곳”이라고 말했다.
일부 피해자들은 폭행으로 숨진 이들의 시신이 단지 내 소각장에 처리된다고 주장했지만, 범죄단지에서 근무했던 C씨는 “쓰레기를 태우는 곳일 뿐 과장된 소문”이라고 반박했다.
국경지대에서는 실적이 낮거나 빚을 진 경우 장기 적출로 이어진다는 증언도 있었다. 한 관계자는 “각막은 이식이 쉬워 비싼 값에 팔린다”며 “빚을 탕감해줘도 대부분 ‘죽여 달라’고 한다”고 말했다.
현재는 캄보디아보다는 미얀마 등 인근 국가에서 장기매매가 이어지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B씨는 “지금은 장기를 팔기보다 강제로 일을 시키다 못 쓰게 되면 미얀마로 보낸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