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금리차 연내 1.25%p까지 줄어드나…부동산 대책 변수

사진아주경제DB
[사진=아주경제 DB]
올해 안에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격차가 1.25%포인트까지 축소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이 금리 인하를 지속하는 가운데 한국이 부동산 대책 효과 확인을 위해 당분간 동결 기조를 이어갈 경우 한·미 금리 차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15일 한국은행 뉴욕사무소는 "투자은행들은 대체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연내 2회 추가 인하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미국 기준금리는 현재 연 4.00∼4.25% 수준이다. 금융권 전망대로 연준이 연내 2회 총 0.50%포인트를 추가 인하하면 3.50∼3.75%가 된다.

보고서는 또 "미국 관세 인상에 따른 물가 상승보다 노동 시장 악화 우려가 더욱 부각됐다"며 "(투자은행들이) 내년 3분기까지 2∼3회 추가 인하 가능성도 제시했다"고 덧붙였다. 내년 9월 말에는 현재보다 최대 1.25%포인트 낮은 2.75∼3.00%까지 미국 기준금리가 비교적 가파르게 떨어질 수 있다고 보는 셈이다.

투자은행별로는 모건스탠리, 노무라, TD 등이 올해 2회, 내년 3회 금리 인하를, 바클리, 씨티, 골드만삭스, 웰스파고 등이 올해와 내년 각 2회 금리 인하를 점쳤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올해 1회, 내년 3회를, JP모건은 올해 2회, 내년 1회를, 도이치뱅크는 올해 2회를 각각 예상했다. 각 투자은행 전망은 모두 한 번에 0.25%p 수준의 점진적 인하를 전제로 했으며, '빅컷'(0.50%p 인하)은 가정하지 않았다.

반면 시장에서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내 추가 인하 없이 2.50%로 묶을 수 있다는 전망도 점차 고개를 든다. 수도권 부동산 시장 열기가 좀처럼 식지 않는 가운데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 위에서 내려오지 못하는 등 금융안정 불확실성까지 겹친 점을 고려한 분석이다.

안재균 한국투자증권 연구위원은 "10월 기준금리 2.50% 동결과 당분간 동결 기조 전개 가능성이 커졌다"며 "이런 기조가 최소 내년 1분기까지 유지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특히 "부동산 대책 효과 확인까지는 최소 1∼2개월의 시간이 필요해 11월 금통위는 다소 촉박하다"며 "외환시장이 안정을 찾아도 부동산 경기 대응이 여전히 필요하기 때문에 연내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을 크게 본다"고 말했다.

만일 미국이 연내 두 차례 금리를 인하하고 한국이 동결하면, 양국 금리 격차는 현재 1.75%포인트에서 연말 1.25%포인트로 축소된다. 지난 2023년 2월 1.25%포인트에서 3월 1.50%포인트로 금리 격차가 확대된 후 2년 9개월 만(올해 연말 기준)에 격차가 최소로 줄어드는 셈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